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정철 전문가
고려대학교 화학과
물리
물리 이미지
Q.  우리몸에서 지방과 근육무게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방과 근육은 같은 무게여도 부피에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지방은 풍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지방이 많은 사람이 몸이 더 커질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지방과 근육의 밀도차이때문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가 내릴때 빗방울의 속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단순히 속도만을 본다면 작은 빗방울이라 할지라도 피해를 입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론 그정도 속도에 다다를순 없습니다. 이유는 공기 저항 때문입니다. 저항을 받은 물방울은 아래쪽으로 중력을 받고 위쪽으론 저항을 받으므로 이 두가지 힘의 차이 마큼의 힘을 받게 됩니다. 아래로 내려오는 동안 점점 빨라지고 이에 따라 당연히 저항도 점점 커지기 때문에 수렴하는 값이 생기게 됩니다.즉 이 두힘이 같아지는 속도를 종단속도라 하고 실제로 빗방울의 모양, 기압, 바람등 다양한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측정하긴 어려울듯합니다. 암튼 빗방울이라 할지라도 그 모양과 크기에 따라 속도가 다르답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손소독제로 손을 닦으면 왜? 차갑고 시원한 느낌이 드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손소독제등에는 주로 에탄올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에탄올은 휘발성 물질로 그냥 두어도 상온에서 휘발하는 물질입니다. 이를 따뜻한 사람의 손에 바르게 되면 그 온도에 의해 빠르게 휘발하게 되고 휘발하면서 일부 체온을 가져가기 때문에 시원한 느낌이 드는 것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물체가 떨어질 때 가속도가 계속 붙는게 아니라 어느정도가 되면 속도가 동일해지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처음에는 가속도가 붙는것이 맞습니다. 가속도가 붙으면서 점점 낙하 속도가 높아지다가 어느 순간이 되면 가속도와 낙하 속도가 같아 짐니다. 이때를 무중력 상태라고 합니다. 이를 활용하여 대형 점보기를 이용하여 무중력 상태를 만들어 영화촬영등의 기법으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지금도 몰래 방류하고 있다고 종종 뉴스에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위험하고 잘못된 행동입니다. 본인들이 안전하다고 주장한다면 본인들 스스로 소비를 해야 하는 것이지 이를 바다로 보내겠다고 하는건 참으로 위험한 행동이 아닐수 없습니다. 당연히 바다가 오염되고 이로 인해 많은 나라들이 피해를 받지 않을까 합니다. 그중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피해야 말로 어느정도일지 가늠하기 조차 힘듭니다. 물론 방사능 오염수가 뿌려진다고 해서 당장에 바로 문제가 생기진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분명히 문제가 되어 결국 피해로 이어지게 될것이 명확합니다. 참으로 안타까우면서도 화가나는 일임에는 분명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자동차에 나오는 속도가 정확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측정되어지는 속도가 아마더 정확한 속도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차량은 처음에 만들어 질때 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실제속도보다 차량내 속도계의 속도가 더 나오도록 설계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는 실제 100km 속도가 아님에도 100km로 표시되어 과속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3면의 바다중 서해에만 밀물과 썰물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과 썰물은 모든 바다에서 다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태양과 달의 중력으로 발생하는 기조력의 영향으로 해수면의 높낮이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유독 서해가 그차이가 심해 보이는 이유는 서해의 수심이 낮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세계일주를 하는데 걸리는 시간?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이 조금 모호하긴 하지만 일단 아무런 관광도 없이 비행기로만이라고 하신다면 하루도 안걸립니다. 음속 비행이 가능한 전투기도 있으니깐요~~~단순히 지구 둘레를 한바퀴 도는 것을 세계일주라 하신다면전투기중 마하 3을 넘는 전투기도 있습니다. 지구 둘레가 약 4만키로라고 하고 마하 3으로 돌게 되면 13~14시간이면 세계일주가 가능할것 같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마이야르 반응은 왜 발생하고 효과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루이 카미유 마이야르에 의해 1912년 발견된 화학반응으로 특히 식품을 고온으로 가열했을 때 갈변화하면서 색과 맛을 부여하는 현상을 지칭합니다. 빵이나 고기를 구울 때 겉면에 갈색의 껍질을 형성하거나 로스팅한 커피처럼 구수한 맛을 내줍니다.아미노산과 환원당 사이의 화학 반응으로 음식의식 조리 과정중 색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특별한 풍미가 나타나는 일련의 화학반응 이라고도 하지요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빛의 속도를 어떤방식으로 알아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실험 장치를 이용해 빛의 속력을 측정 한 최초의 사람은 프랑스 물리학자 아르망 이폴리트 피조라고 합니다.피조의 광속 측정 장치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이 회전하는 톱니바퀴의 톱니 틈을 통과하게 한 후 멀리 있는 거울에 부딪혀 되돌아오게 해 빛이 멀리 떨어진 두 점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을 재는 장치입니다.천문현상으로 계산을 한 사람도 있습니다. 덴마크 천문학자 올레 뢰머라는 사람인데 지구와 목성은 태양을 공전하는데 지구와 목성의 가까운 정도가 이오가 목성에 가려지기 시작하는 시간(이오의 월식이 시작되는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됐고 그의 관측 결과에 의하면 이오의 월식은 지구와 목성의 거리가 멀 때보다 가까울 때 약 22분 빨랐습니다. 이 22분은 지구의 공전궤도 지름길이 만큼 빛이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므로 빛의 속력은 약 220,000,000m/s가 된다고 하네요.지금의 빛의 속도와 차이는 있지만 이정도 알아낸것도 대단한 결과입니다.
5265275285295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