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정철 전문가
고려대학교 화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비행기 창문은 왜 동그란 창문만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 창문이 둥근 이유는 사각형 모양의 창문보다 둥근 형태의 창문이 훨씬더 기체의 피로를 잘견딜수 있어 안전하기 때문입니다. 비행기는 안과 밖의 기압차 때문에 동체에는 피로, 스트레스등이 쌓이게 됩니다. 이 피로가 한계점이상으로 올라가게되면 기체에 균열이 생기게 됩니다. 여러 연구를 통해 둥근창문 형태가 가장 안전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과학의 발명중에서 바퀴의 발명은 문명을 바꿨다고 하는데 큰 영향인건 알겠는데 전기보다도 놀라운 발견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바퀴의 발명은 인류의 서장과 발전을 가져온 인류 최대의 발명품이라는 별명이 있을정도로 어마어마한 발명입니다. 모방없이 인간스스로 만들어낸 물건이며 무거운 짐을 먼곳까지 운반할수 있고 인류를 쉽고 빠르게 이동할수 있게 만든 발명품입니다. 인류가 발전하면서 도로가 정비되고 마차가 발달하면서 교류가 늘어나고 그만큼 문명의 발전이 빨라지게 된것입니다. 불, 문자와 더불어 3대 발명품으로 꼽는 이유는 장거리 이동과 대규모 물자 수송을 가능하게 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산업혁명이후 더욱 그 중요성이 커지게 되어 현재에 까지 이르게 됩니다.
화학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금속이 녹이 슬면 색깔이 다르게 변하는데...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금속이 녹이 스는것은 산화라고 합니다. 급속 표면이 산소와 결합하면서 산화가 되는것을 녹이라고 합니다. 이런 산화가 일어날때 금속마다 산화가 되는 형태, 구조등이 다르고 산가등이 다르기 때문에 금속마다 산화시 생기는 녹의 형태와 색깔도 다른것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전기의자의 탄생배경과 발명한 사람은?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의자는 미국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이게 내용이 좀 복잡한데 간단히 말씀드리면 직류전기와 교류전기의 대립이 최대로 심화 되었을때에디슨이 교류전기를 폄하하기위해 교류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의자를 만들었으나 사형수가 매우 고통스럽게 죽었던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든 사람은 에디슨의 연구원이었던 해롤드 브라운과 아터 케넬리입니다.
물리
2023년 2월 16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아들이 덤벨로 운동을 하는데 키크는데 지장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강도일지는 모르겠지만 근력운동을 하는것은 성장이나 아이 신체 발달에도 도움이 됩니다. 심한정도(선수?)가 아니라면 괜찮을듯 합니다 .그리고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키가 작을까봐 이런저런 영양제부터 신경을 많이 쓰시는데 키는 태어나면서부터 거의 90%이상이 유전으로 정해집니다. 제 기억으론 예전에 이미 이런 부분에 대해서 방송에서도 나왔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리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계단 오르기를 했을때 몸이 더 건강해지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다이어트보단 다리와 허리 근육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 물론 관절에도 영향을 주겠지만 올바른 자세로 올라가게 되면 운동이 됩니다. 계단을 오르실때 계단을 밟고 위로 올라간다는 생각으로 오르셔야 합니다. 앞으로 숙인 상태에서 오르시게 되면 관절에 무리가 갑니다. 계단과 수직된 방향으로 몸이 올라가도록 다리와허리를 곧게 펴시고 오르시면 됩니다.
화학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콜라와 멘토스가 만나면 터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다른 탄산들도 그 정도가 다르긴 하겠지만 비슷한 현상을 보입니다. 탄산음료별로 차이가 있는 이유는 사용되는 원료에 따른 차이입니다. 그냥 탄산을 냉장고에 넣어놔도 일반 콜라보단 제로콜라가 탄산이 더 빨리 빠지는걸 보실수 있습니다. 일단 멘토스와 콜라가 만나게되면 화학적인 반응보단 탄산기포가 빠르게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멘토스 표면이 거칠어서 탄산이 달라붙게 되고 이 탄산이 사이즈가 커져서 기포를 생성 위로 올라게가 되는 것입니다. 즉 녹아있던 탄산이 빠르게 기포를 형성하게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심해로 내려갈수록 수심별 수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깊이에 따른 수압이 궁금하시군요물속은 이런저런 다른 변수를 고려하지 않을 시 10m당 1기압씩 높아집니다. 100m 만 내려가도 10기압으로 우리가 평상시 받는 대기압의 10배가 되는 것이지요~
화학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탄산음료는 왜 뚜껑을 닫아놔도 탄산이 빠져나가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은 공기보다 가볍습니다. 그래서 물에 녹아 있긴 하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면 날라가는 것입니다. 초기에 완전 밀폐된 상태에서는 괜찮으나 한번 오픈한 다음부터는 완전 밀폐가 불가능합니다. 되도록 꽉 닫으신 다음에 거꾸로 뒤집어서 보관하시면 조금더 연장되긴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15일 작성 됨
Q.
진화론이 정말 과학적으로 증명된 가설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설 이런 내용들은 말그대로 설인것입니다.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기보단 연구해본 결과 가장 가능성이 있다거나 이럴수도 있을것같다 등의 내용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연구하고 있으니 언젠가는 밝혀지리라 생각합니다
541
542
543
544
5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