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조한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전문가입니다.
조한진 전문가
연희에이아이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보험
자격증
저축성 보험
2022년 12월 22일 작성 됨
Q.
저축형 보험 나중에 국민연금보다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보험전문가입니다.국민연금 등의 공적연금과 사적보험은 굳이 비교를 하시기보다는 둘 다 자신의 노후를 위해 준비한다는 개념으로 잡고 가시는 게 좋습니다.지금 말씀드린 사적보험은 사실 연금보험이죠.말씀하신 저축성보험은 국민연금보다는 적금하고 비교를 하시는 게 맞습니다.긴 기간이지만 중도에 해지하지 않고 10년 이상 유지하시면 비과세된다는 장점이 있죠.다만 최종 받는 이율이 생각보다 많이 깎이고 중도해지시 원금보다 적은 금액을 받을 확률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그리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차라리 최근의 고금리 적금을 하시는 게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그리고 노후 대비를 보험 형태로 하고 싶으시다면 차라리 저축성보험보다는 연금보험을 하시길 권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정책
2022년 12월 22일 작성 됨
Q.
2023년 성장률이 1% 대라고 하는데 실제 이런 성장율은 경제의 어떤 부분이 반영되어 측정이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성장률은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연간 증가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즉, 금년의 실질 GDP가 작년보다 얼마나 더 증가 혹은 감소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GDP는 한 나라 안의 모든 경제주체가 1년 동안 생산한 최종재의 시장가치를 모두 더한 것으로 한 국가의 전반적인 생산활동 수준과 경제규모를 나타냅니다. 특히 실질 GDP는 물가수준의 변동을 제거하고 생산량의 변동만을 반영하도록 만든 지표로서 서로 다른 기간의 생산량을 비교하는 데 사용될 수 있죠. GDP의 증가율, 즉 경제성장률은 국가경제의 경기상황과 성장잠재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계산법은 {(금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 전년도 실질 GDP} × 100 이렇게 됩니다.감사합니다.
의료 보험
2022년 12월 22일 작성 됨
Q.
실비와 치아보험 같은 회사 들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보험전문가입니다.같은 보험사로 하셔도 되고 다른 보험사로 하셔도 됩니다.상품을 몇개 비교해보시거나 설계사에게 상담 받으신 후에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다만 사실 이러한 보험들은 회사마다 아주 큰 차이는 없으므로 보험금 청구나 이용 시스템 등에 대해 기존 보험사가 익숙하시면 같은 보험사꺼를 새로 가입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2022년 12월 22일 작성 됨
Q.
코로나로 인해 제2의 IMF가 오고있다는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IMF까지는 아니겠지만 경기침체와 불황은 피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창업하시려는 업종이 어느 쪽인지는 모르겠으나 불황은 이미 슬슬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코로나도 코로나지만 이젠 그보다는 금리의 급격한 인상과 아직 끝나지 않은 우크라이나 전쟁, 물가상승 등이 주 원인입니다.창업에는 고정비가 기본으로 들기 때문에 시작하시려는 업종이 경기침체의 영향을 크게 받는 쪽이라면 조금 미루시는 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불황일 때는 일단 부채를 줄이고 나가는 비용을 감축하고 보수적으로 운용하면서 근로소득의 가치가 올라가는 때이기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저축성 보험
2022년 12월 22일 작성 됨
Q.
실비갱신, 적정 금액선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보험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보험은 옛날꺼가 더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실손보험도 마찬가지이고요.게다가 지금 새로 가입가능한 실손보험은 월 보험료가 좀 저렴한 대신 보장 범위나 횟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고,추후 갱신시 보험금을 많이 수령하면 보험료가 다시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됩니다.아직 여유가 있으시면 아직은 기존 실손보험을 유지하시길 권해드립니다.그리고 실비보험의 적정선은 없습니다만 기존 보험료 안에 저축성 보험료가 포함되지 않은 기본형이라면10만원 이내면 아주 비싼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