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조한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전문가입니다.
조한진 전문가
연희에이아이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보험
자격증
자산관리
2025년 3월 9일 작성 됨
Q.
사회초년생 아이에게 중요한 재테크 습관을 알려주고 싶은데요. 어떤 습관을 가지라고 조언해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전문가입니다.사회 초년생이라면 일단 종자금을 모으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를 위해서는 지출을 줄이고 절약하는 습관이 중요한데요.사회 초년생때부터 지출을 하는 버릇을 들이면 나중엔 소비를 줄이는 것이 매우 고통스럽기 때문입니다.월 지출을 100만원 이하로 묶고 나머지는 강제 적금이나 적립식 펀드를 자동이체 걸어두는 것이 좋습니다.일단 최소 종자돈(최소 5천만원)을 모을 때까지는 이러한 버릇을 들이도록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그리고 세제혜택이 있는 연금저축과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소액이라도 해두는 게 좋구요.감사합니다.
경제동향
2025년 3월 9일 작성 됨
Q.
한국 경제 전망 - 건설사들 망한다 어쩐다 이러고 있던데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전문가입니다.물론 건설업은 좀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여러 중견건설사들이 도산을 하고 있죠.아직은 큰 건설사들은 아니지만 만약에 시공능력 30위 안의 큰 건설사가 그렇게 된다면 파급력이 꽤 클 것으로 보입니다.다른 업종도 걱정이지만 건설사는 산업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좀 유의깊게 보긴 해야 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3월 9일 작성 됨
Q.
미국 테크 기업 전망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전문가입니다.요즘 떨어진다는 건 그만큼 미국 주식이 작년에 엄청 올랐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이 정도 떨어진 건 아직 조정이 크게 온 거라고 볼 순 없습니다.사실 S&P500 기준으로 6000포인트를 왔다갔다 하고 있을 뿐이죠.트럼프 취임 이후 관세 등 불확실성을 견디고 있는 장세입니다.문제는 여기서 진짜 조정으로 갈 것이냐 여부입니다.지금은 큰 수익 욕심은 버리고 원금손실을 보지 않고 지키는 전략이 더 중요한 때라고 보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정책
2025년 3월 9일 작성 됨
Q.
요즘 상속세와 소득세에 대한 완화가 화두인듯 합니다. 이렇게 완화되면 세수펑크와 건전성에는 문제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전문가입니다.물론 세금이 완화되면 정부 입장에서 세수가 줄어들 수 있지만 그보다는 경제가 활발히 돌아가는 장점이 더 크다고 보는 것이지요.세수는 다른 쪽으로 상쇄시킬 수도 있구요.그리고 소득세보다는 법인세가 많이 줄어드는 것이 요즘 더 화두입니다.그만큼 불경기라는 뜻입니다.또한 상속세는 예전부터 너무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많았고 선진국과의 차이도 많았기 때문에 이번에 상속세 조정에 대한 합의가 기대되는 시점입니다.감사합니다.
예금·적금
2025년 3월 9일 작성 됨
Q.
적금과 예금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전문가입니다.예금은 적금에 비해 목돈을 투자 가능하다는 점과 제시이자율을 모두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되는 것도 장점이죠.그리고 이 예보가 1억원까지 추후엔 올릴 것으로 보입니다.단점은 예적금 금리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고요.적금은 예금같이 목돈을 아니어도 소액으로 적립식으로 차분히 모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적금도 예금자보호가 되구요.다만 적금은 이자가 붙는게 불입시기에 따라 다릅니다.예를 들어 이자율이 4%이고 1년 만기짜리이면, 첫달 불입액은 4%가 다 붙지만, 두번째 달의 불입액은 11개월치만 이자가 붙고, 마지막 불입액은 한달치만 이자가 붙습니다.따라서 전체 원금에 모두 4%가 붙는게 아니라서, 원금 전체로 보면 대략적으로 절반인 2%만 붙게 됩니다.감사합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