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신경외과
Q. FTA-ABS와 TPHA 검사의 감수성에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매독검사는 크게 매독균 비특이 항체 검사와 매독균 특이 항체 검사로 나눌수 있습니다. 정량, 정성검사로 구분하기도 하며 정량검사의 경우는 RPR, VDRL이 있으며 정성검사로서 FTA-ABS, TPHA, TPLA등이 있습니다. 매독검사는 다른 성병검사에 비해 위양성이나 위음성이 많은 편인데 그러한 이유로 정확한 감염여부는 성관계 후 일정기간이 지난 뒤 정량, 정성검사를 모두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가지 검사만을 시행한 후 이상이 없다면 감염이 아닐 수도 있으나 항체반응이 모호할 수 있는 질환초기에는 일부검사만 양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양성인 경우에는 정량검사의 치료전 항체역가가 향후 페니실린 주사치료의 반응도 기준이 되기 때문에 미리같이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원인 모를 심장 두근거림 등 심박수 증가
안녕하세요. 진호성 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100회 이상 빠르게 뛰면 빈맥, 60회 이상 느리게 뛰는 경우를 서맥이라고 하는데, 부정맥 증상으로는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호흡곤란, 흉통, 피로감 등이 있습니다. 부정맥의 가장 흔한 원인은 심장 질환 특히 관상동맥질환, 판막질환과 심부전 등이 있으며, 가벼운 부정맥은 알코올, 흡연, 카페인, 스트레스, 운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특별한 원인 없이도 부정맥은 발생할 수 있습니다.증상이 반복될 경우 보다 정밀한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대학병원 내원하여 진료 보는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