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차하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차하린 전문가입니다.
차하린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2년 9월 15일 작성 됨
Q.
양반들은 일부 다처제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바뀌게 된 계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엄밀하게 따지면 조선시대는 일부일처제였습니다. 유교에서 성적인 절제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부인은 하나였지만 나머지는 첩이라고 부르며 나름 일부일처제라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실질은 질문자 말씀대로 일부다처제라고 보는 것이 맞아 보이고요. 근대 사회로 넘어오면서 여성의 지위과 인권이 강조되면서 이러한 첩 문화가 사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
2022년 9월 1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글 소설로 국한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소설은 바로 그 유명한 홍길동전인데요. 허균이 지었습니다. 다만, 다른 한글소설들도 있지만 누가 지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허균은 1569년에 태어나 1618년에 사망했는데요. 즉 홍길동전은 16세기에 쓰여진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역사
2022년 9월 15일 작성 됨
Q.
조상님들은 밥을 많이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옛날에 살았던 조상들의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그 시대에는 하루에 세 끼가 아닌 두 끼를 먹었는데요 아침과 저녁을 먹었습니다. 그러다 15세기부터 점심이라는 말이 처음 나왔던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점심은 간단히 먹었기 때문에 밥 조금, 김치 몇 조각 이런 수준이었습니다. 하루에 아침 저녁으로 두 끼 먹는 것이 주 식사였기 때문에 지금보다 훨씬 공기밥에다가 밥을 먹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
2022년 9월 14일 작성 됨
Q.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의 공통점과 차이점 이 궁금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루살렘은 기독교 뿐만 아니라 유대교와 이슬람교의 성지입니다. 즉, 기독교와 유대교와 이슬람교는 같은 뿌리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독교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믿는 반면 유대교는 예수도 하나의 선지자였다고 믿는 것이고 이슬람교는 무함마드(마호메트)도 하나님이 보내신 예언자라고 믿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모두 같은 하나님을 믿고 아브라함이 조상이지만 이렇게 차이점이 있습니다.
역사
2022년 9월 13일 작성 됨
Q.
굳이 꼽자면 인류 최고의 발명품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의견이 다양할 수 있는데 저는 최고의 발명품 중 하나는 바로 문자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문자가 발명품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는지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문자로 인하여 지식이 축적되고 전수되었는데요. 문자로 인한 지식의 축적과 전수로 인하여 인간은 짧은 기간동안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역사
2022년 9월 13일 작성 됨
Q.
중세시대의 흑사병에 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흑사병은 페스트라고 불리는데요. 쥐에 기생하는 벼룩이 매개하는 감염병입니다. 1346년부터 7년 동안이나 유럽 전역을 휩쓸었던 유행병이었는데요. 흑사병이 돌고나서 인구가 최소 1억명 이상 줄었을 정도로 그 여파는 대단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1348년부터 1350년 3년 동안 유럽 인구의 3분의 1에서 절반에 이르는 사람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음악
2022년 9월 12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음식 중 이름에 '막'이 붙은 경우가 많은데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막국수에서 막은 '마구' 혹은 '바로 지금'이라는 뜻입니다. 막국수를 만들 때 메밀 겉껍질을 벗기지 않고 통째로 막 갈아서 막국수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막국수는 이것 저것 넣어서 막 먹을 수 있고 면만 삶으면 지금 바로 양념에 비벼서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막'국수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막'은 이런 뜻으로 음식에 많이 붙어 쓰이는 것 같습니다.
역사
2022년 9월 12일 작성 됨
Q.
열사와 의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안중근은 의사로 불리며 유관순은 열사로 불리는데요. 국가보훈처에서 정리한 바에 따르면 '의사'는 무력으로써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을 뜻하며 '열사'는 맨몸으로써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낸 사람입니다. 즉 '의사'는 성패 관계없이 무력으로 대항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열사는 주로 맨몸으로 싸우다 돌아가신 분을 의미합니다.
미술
2022년 9월 12일 작성 됨
Q.
여러 출판사에서 나온 책 고르는법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고전의 경우는 번역과 출판사가 워낙 다양해서 어떤 번역판을 고를지 고민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또한 번역본이 원본에서 번역한 것인지 아니면 영문판이나 다른 언어로 번역된 것을 번역한 것인지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원본도 어느 시대 어떤 원본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번역가가 누구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돈키호테는 시공사판과 열린책들판이 가장 탁월하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미술
2022년 9월 12일 작성 됨
Q.
낙서같은 그림도 비싼 이유가 뭘까요...? 어떤 가치가 있는거죠?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명한 화가들의 유명세로 인하여 낙서같은 그림도 비싸게 판매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낙서같아 보이지만 거기에 의미와 해석을 부여해서 고가에 팔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 작품으로서의 가치가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유명 화가가 그렸다는 것만으로도 비싸게 팔리는 경우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