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선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선지 전문가입니다.

최선지 전문가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어는 처음에 어떻게 생기고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선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자와 언어를 잘 구별해서 봐야 합니다. 한글(문자)이 창제되기 이전에 한국 사람들이 한자(문자)를 사용했다고 해서 중국어(언어)를 사용했던 것이 아닙니다. 지금 우리가 쓰는 현대 한국어와 조금 다르지만 한글 창제 이전 즉 고려시대 삼국시대 그리고 그 이전에도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었죠.즉, 문자가 창제되고 나서 그 문자에 의미를 넣은 것이 아니라, 한국인은 한국어(언어=의미+소리)를 사용하고 있었고 그 한국어의 표기를, 즉 글을 쓸 때, 한자를 빌려오지 않고도 한글로 쓸 수 있게 된 것일 뿐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ISO 품질경영심사등 이런 ISO 관련 심사 항목은 언제 처음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최선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를 의미하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표준화 단체 중 하나입니다. ISO의 역사는 다음과 같습니다.1946년: "국제 표준화 기구" (ISO)의 전신인 "국제 표준화 조직" (ISO)이 설립됩니다. 초기 회원국은 25개국이었습니다.1951년: 최초의 ISO 표준인 "ISO/R 1:1951, Standard Reference Temperature for Industrial Length Measurements"가 발표됩니다.1957년: ISO가 현재와 같은 이름을 채택합니다.1987년: ISO 9001 품질 경영 시스템 국제 표준이 발표됩니다. 이것은 ISO에서 가장 잘 알려진 표준 중 하나입니다.2000년: ISO 14001 환경 경영 시스템 국제 표준이 발표됩니다.2015년: ISO 9001:2015, ISO 14001:2015 및 ISO 45001:2018과 같은 ISO의 현재 표준이 발표됩니다. 이러한 표준은 기업과 조직이 품질, 환경, 안전 등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현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ISO는 현재 165개 이상의 국가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와 학계, 정부 기관 등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ISO 표준은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 안전, 환경 보호, 정보 보안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클래식에도 저작권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선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클래식 음악에도 저작권이 있습니다. 저작권은 작곡가의 생전에는 작곡자에게, 그리고 작곡가의 사망 후 일정 기간 동안에는 해당 작곡가의 상속인이나 권리자에게 속합니다. 따라서 클래식 음악의 저작권이 소멸되는 시기는 해당 작곡가의 사망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입니다.각 국가별로 저작권 법률이 다르기 때문에, 저작권이 얼마나 지속되는지는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말해, 많은 국가에서는 저작권이 작곡가의 사망 후 70년 이상 지속되며, 이 기간 이후에는 해당 작곡물은 공공 도메인이 됩니다.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저작권 기간이 더 길거나 짧을 수도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훈민정음에서 지금은 쓰지 않는 글자들은 어떤 발음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선오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훈민정음 28자 중 현대 한국어에 소실하고 없는 글자는 ‘ㅿ’, ‘ㆁ’, ‘ㆆ’, ‘ㆍ’ 네 가지입니다. ‘ㅿ’은 불청불탁의 반치음이며 유성음 사이에서 발견되므로 음가는 치경유성마찰음 [z]로 추정됩니다. ‘ㆁ’는 아음의 불청불탁자로, 대체로 음운 /ŋ/으로 인정됩니다. 오늘날 ㅇ종성으로 된 말은 전부 ㆁ받침을 썼습니다. ‘ㆆ’은 후음의 전청자로, 성문 폐쇄음 [ʔ]으로 재구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ㆍ’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모음 체계에서 후설 저모음 [ʌ]으로서 불안정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덜어서"의 유의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선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당 맥락에서는 큰 통에서 작게 배분하여 쓰란 의미이므로 "소분하다(小分하다)"란 단어가 적합해 보입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18번이라는 말은 어디에서 유래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선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관련 내용은 나무위키에 있습니다.보통의 한국인들은 본인의 애창곡을 일본의 가부키[1]에서 유래한 18번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1840년 가부키 배우였던 이치카와 단주로는 수많은 가부키 작품 중에서 등 인기 있는 걸작 18편을 선정 및 발표했는데, 이것이 '좋아하는 극, 좋아하는 노래'라는 의미로 변하여 사용되다가 일제강점기 조선에 전해져 오늘날의 '18번'이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일본에서 만들어진 일본식 표현이기 때문에 국어순화 차원에서 "애창곡"이라고 부르는 것을 권장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7은 왜 동양에서나 서양에서나 중요한 숫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선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숫자 7은 북두칠성에 대한 인식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하늘이 인간의 운명을 좌우한다고 믿었던 고대인들은 1년 어느 때라도 볼 수 있는 북두칠성이 곧 하늘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기고 섬기면서 점차 칠성신앙(七星信仰)으로 발전하였습니다. 또한 망원경이 나오기 전까지 인간은 하늘에 별과 지구를 제외하고 해ㆍ달ㆍ수성ㆍ금성ㆍ화성ㆍ목성ㆍ토성이라는 7개의 ‘천체’가 있다고 보아 이를 주일의 기준으로 삼고 각 천체의 이름을 대입하였습니다. 음양오행사상으로 천지만물의 생성과 변화의 이치를 해명한 동양에서도 일곱 천체와 7요일의 이름을 음양에 해당하는 일월(日月)과 오행〔火水木金土〕으로 구성한 것입니다. 이처럼 숫자 7은 동서양을 넘나들며 하늘을 이루는 근원적인 수로 여기게 되었고, 나아가 우주의 의미를 해명하는 신성한 수이자 음양오행의 동양사상을 담고 있는 수로 파악하였습니다.-숫자 3은 예부터 한자문화권에서 길수(吉數)ㆍ신성수(神聖數)라 하여 최상의 수로 여겨왔습니다. 3은 최초의 양수인 1과 최초의 음수인 2가 결합하여 생겨난 변화수로서 음양의 조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진 수입니다. 짝수인 2처럼 둘로 갈라지지 않고 원수(原數)인 1의 신성함을 파괴하지 않은 채 변화하여 ‘완성된 하나’라는 상징을 지니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근원적인 구조와 신성함을 드러낼 때 숫자 3은 어김없이 등장하게 됩니다(세계를 이루는 구성요소는 천ㆍ지ㆍ인 3재(三才), 천계(天界)ㆍ지계(地界)ㆍ명계(冥界)의 삼계(三界), 한 우리나라의 시조신인 환인(桓因)ㆍ환웅(桓雄)ㆍ단군(檀君)이 셋이면서 하나로 일체를 이룬다는 삼일신(三一神)적 인식,불교의 불ㆍ법ㆍ승의 삼보(三寶) 등).-아울러 7은 3과 4를 합한 숫자로 그 속에 3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삼계를 뜻하는 성스러운 수 3과, 인간이 사는 세계[四方]를 뜻하는 세속적인 수 4가 결합되어 있어 숫자 7을 신과 인간, 성과 속, 하늘과 땅, 영혼과 육체가 통합된 수로 보았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인간이 7년을 주기로 변화를 거듭한다고 보는 이론이 일찍부터 존재했다는 사실입니다. 중국에서는 7이라는 주기성이 여성과 깊이 관련되어 열네살(2×7)에 초경을 시작해 여성으로 거듭나며 마흔아홉살(7×7)에 폐경이 된다고 보았습니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다음 생을 받기 전까지 중유(中有)의 존재로 머문다고 보는데, 그 기간을 7ㆍ7일(49일)로 본 것도 이러한 맥락과 함께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는 숫자를 곱하기로 많이 표현합니다. 이팔=2x8=16살, 이칠일은 2x7=14일, 삼칠일은 3x7=21일로 표현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삼칠일에 대한 언급은 단군신화(檀君神話)에서 처음 등장합니다. 곰과 호랑이가 환웅(桓雄)을 찾아와 사람 되기를 간청하자, 환웅은 굴속에서 햇빛을 보지 않고 쑥과 마늘만 먹으며 백일간 인내하면[百日忌] 사람이 될 수 있다고 일러주었습니다. 이에 둘은 굴속에 들어갔으나 호랑이는 참지 못하고 중도에 뛰쳐나오지만 곰은 백일이 채 되기 전인 삼칠일 만에 여자의 몸을 받아 웅녀(熊女)가 되었고, 잠시 사람으로 변한 환웅이 웅녀와 혼인하여 아들 단군을 낳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포트와인의 탄생 배경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선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년전쟁에서 영국이 프랑스에 패하면서, 영국은 보르도 지역을 빼앗기고 프랑스와 교역이 중단되어 보르도 와인을 저렴하게 수입하기 어려워졌고, 게다가 1693년 윌리엄 3세에 의해 시행된 조세법으로 인해 프랑스 와인에 대한 세금이 대폭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보르도 지역은 와인 산지로 유명한 지역이었으니, 영국 사람들은 보르도 와인을 못 먹게 되어 매우 슬퍼하였지요. 이에 많은 상인들이 영국에 와인을 공급하기 위해 적당한 와인산지를 물색하게 되었고, 런던에서 가까운 포르투갈 도루강 인근의 와인산지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포르투갈에서 생산된 와인은 영국으로 건너가는 도중에 식초처럼 변질되는 문제가 생겼습니디다. 이때 영국인들은 발효 중간에 코냑 등을 통해 주정(알코올)을 인위적으로 첨가해서 발효를 중지시키면 변질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고, 이때 탄생한 게 포트와인인 것입니다. 따라서 포트와인은 일반 와인에 비해 도수와 당도가 높고 잘 변질이 되지 않습니다. 도수가 높은 술을 좋아하는 영국인들은 포트와인을 사랑하게 되었고, 포르투갈은 포트와인의 산지라는 이유로 영국과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한국의 전통주 중 과하주는 쌀로 만든 것이지만, 포트와인과 유사하게 중간에 소주를 첨가하여 발효를 중단시켜 만든 술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국어문법을 잘하기위해서 참고하면 좋은 책을소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선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어국문학과에서 주로 보는 개론서로는 대표적으로표준국어문법론(남기심, 고영근, 유현경, 최형용 저),우리말 문법론(고영근 구본관 저), 한국어문법총론1,2(구본관, 박재연, 이선웅, 이진호 저)가 있습니다. 이들 모두 친절하게 쓰여있으니 혼자 공부하시기에도 좋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234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