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틱이 있는거 같은데 어떻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아이에게 틱 장애가 의심되어 걱정이실 듯 합니다.가족들은 증상을 무시하고 주의를 기울이지 마시고,아이를 혼내거나 지적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습니다.일과성 틱은 시간이 지나며 좋아지는 경우도 많아 틱 장애의 모든 경우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증상이 심해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거나,학교에서 또래와의 관계에 문제가 되거나,증상이 일시적이지 않고 1년 이상 지속되거나,동반된 정서,행동, 학습의 문제가 있을 경우에치료를 고려하게 됩니다.아이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치료를 위해아이들을 전문으로 하는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의진료를 받으시길 권장 드립니다.아이가 잘 회복하길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Q. 아이 성조숙증 검사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최연철 입니다.아이의 성조숙증에 대해 궁금하신 듯 합니다.여아의 이차성징이 만 8세 이전에 시작되면,성조숙증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평가가 필요합니다.일반적으로 가슴의 멍울(유방의 발달)로 시작되지만,두피의 냄새, 음모 또는 겨드랑이털 등의 체모 출현,급격한 성장, 식욕의 증가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납니다.아이에게 의심되는 모습이 전혀 관찰되지 않고,보호자 분들도 특별히 신경 쓰지 않으신다면 상관없지만,검사를 고려하신다면 지금 시기(만 7-8세 경)에 검사해 볼 수 있습니다.만 9세 생일이 지나서 성조숙증의 진단과 치료가 시작되면 건강보험 적용이 안돼 같은 치료를 하더라도 비용이 많이 소요됩니다.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대학병원의 경우 소아내분비 의료진의 진료를 권장드립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혈액검사.림프종 에 대하여 여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림프종과 장중첩증에 대해 궁금하신 듯 합니다.림프종이 많이 진행하거나 골수를 침범하지 않으면,기본적인 혈액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확인되지 않습니다.어린이들은 특정 원인 없이 장중첩증이 생길 수 있고,건강한 어린이들에게서도 비교적 흔하게 동반되지만,성인은 어린이들에 비해 장중첩증이 드물 뿐만 아니라종양(림프종, 대장암 등), 염증성 질환, 수술 후 유착,메켈씨 게실 등의 원인에 의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성인에게 장중첩증이 있을 경우기저에 있는 원인 질환에 대한 평가가 꼭 필요합니다.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