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교는 어떻게 조선시대에 입지를 늘린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전기 정도준, 조준, 남은 등의 신진사대부는 고려를 멸망시킨 뒤 조선을 건설하면서 국가 이념으로 성리학을 채택, 이에 전국의 부, 목, 군, 현마다 1개의 향교를 겅설해 유교 이념의 전국적인 보급을 꾀합니다. 독자적인 철학의 발전은 여전히 미미했으나 전국에 양반 계층이 자리잡은 것은 후대 성리학을 지배이념으로 강고히 굳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Q. 제주도 관광을 가면 곳곳에 돌하루방이 있는데요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돌하르방의 유래에 대해 다양한 설이 있습니다.북방기원설- 몽골로부터 전파되었다는 학설로, 몽골의 훈촐로오와 연관이 있다는 것에서 유래한 학설입니다.남방기원설- 남태평양에 있는 발리 섬의 석상문화가 해류를 타고 제주도까지 전파되었다는 설로, 대만에서부터 시작된 폴리네시아계 민족들의 대항해 과정에서 제주도가 영향을 받았으리란 견해 입니다.한반도 본토 유래설- 조선 중후기, 한반도 남부 지방의 석장승 문화가 제주도를 건너가면서 변형된 형태로 제작되었다는 가설입니다.자체생성설: 말 그대로 제주도에 거주하던 고대인들이 어떤 문명의 영향도 받지 않고 독자적인 형태로 제작했다는 가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