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개항 이후 우리나라 사회와 경제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호 개방 이후 열강의 경제적 침탈에 의해 전통적인 사회 체제가 크게 흔들리게 되었고 근대적 사상이 전래되어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납니다. 일부 선각적인 양반, 중인 출신의 인사들은 개화사상을 수용, 개화당을 조직해 위로부터의 사회 개혁을 추진했습니다.갑신정변 당시의 개화당 정부는 14개조의 개혁 정강에서 문벌의 폐지, 인민 평등권의 확립, 지조법의 개정, 행정 기구의 개편 등을 내걸고 근대 사회의 건설을 위한 대개혁을 단행하려 했으나 수구 세력의 방해와 청의 무력 개립으로 실패했습니다. 당시 민중들은 개화당의 개혁 의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들을 적대시 했습니다.조선 후기의 민란에서 비롯된 민중의 저항운동도 계속되었는데 양반 중심의 신분제도와 봉건적 수취 체제에 불만을 가진 농민의 저항 운동은 인간 평등과 사회 벽혁에 기초한 동학 사상과 결합하여 동학농민운동으로 발전, 동학 농민군은 12개조의 폐정 개혁안에서 탐관 오리의 처단, 노비 문서의 소각, 토지의 평균 분작 등을 내세웠고 집강소를 설치해 차별적 신분제도를 타파하고 농민을 위한 토지 개혁을 단행해 새로운 사회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은 실패로 끝이나나 이 운동은 양반 중심의 전통적 신분제 사회를 붕괴시키는데 크게 기여했습니다.갑신정변과 동학농민 운동이 수구 세력의 방해와 외국의 무력에 의하여 좌절된 위에 신분 차별이 없는 평등한 사회를 추구하는 노력은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으로 이어졌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은 정치, 경제, 사회 등 국정의 모든 분야에 걸친 개혁이었으나 그 중 양반 중심의 신분제도를 폐지한 사회 개혁은 획기적인 것이었습니다.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은 양반, 평민의 계급을 타파하고 백정, 광대 등 일체의 천민 신분을 폐지하였으며 공사 노비의 제도를 혁파하고 인신 매매를 금지, 조혼의 금지, 과부의 재가 허용, 고문과 연좌법의 폐지 등을 실시해 봉건적인 폐습을 타파했습니다.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은 일본의 영향하에서 그들의 침략을 위한 체제 개편의 성격이 있음을 부정할수 없으나 실제 조선의 개화 관료들에 의해 갑신정변과 동학농민운동의 기반위에서 추진, 이로써 차별적인 신분제도가 폐지되고 근대적 평등 사회의 기틀이 마련되었습니다.
Q. 염상섭의 소설 삼대에 대해 작품해석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편소설인 삼대는 삼대가 일제 치하에서 몰락해가는 과정을 그리면서 당시 청년들의 고민을 사실적인 수법으로 묘사했습니다.3.1운동 전후의 대지주의 생태, 그 당시 풍미한 사회주의자들의 군상이 복잡하게 얽혀 이야기가 전개되며 할아버지가 죽자 쑥밭이 되는 덕기의 집안, 젊은 사회주의자들의 상호 불신과 반목, 그들 내부에서의 갈등과 테러가 인상 깊게 묘사되었습니다.이 작품은 한말 세대의 보수성과 개화기 세대의 정신적 파탄, 식민지 세대의 진보성으로 대표되는 조, 부, 손의 삼대라는 안정된 구도 속에 가족 계보 안의 갈등과 세대간의 단층과 대치가 무리없이 그려지며, 몰락 과정에 이에 대한의식, 당시 청년들의 정신적 갈등이 사실적 수법으로 파헤쳐져 미묘한 인간심리의 변전을 탁월하게 묘사했습니다.유교전통사회에서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거쳐 근대사회로 변모하고 있는 현실을 그린 이 작품은 가족사를 통한 시대사의 재구로 요약되며 민족항일기 동안 여러 유형의 한국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살았고, 당시의 사회구조의 모순이나 세대 교체의 문제가 한국 근대사의 변천 과정에서 어떻게 파악될수있는가를 문제삼은 한국 근대문학의 대표적 작품에 속합니다.특히 안정된 소설 구조와 개성있는 인물의 유형, 복잡하지만 치밀한 사건 전개의 수법과 주제가 차지하는 역사적, 사회적 비중에 있어 기왕의 우리나라 근대문학의 수준을 뛰어넘는 탁월한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