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장영실은 정말 곤장을 맞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종실록 96권을 보면 의금부에서 아뢰기를, 대호군 장영실이 안여를 감독하여 제조함에 삼가 견고하게 만들지 아니하여 부러지고 부서지게 하였으니, 형률에 의하거면 곤장 1백대를 쳐야 될 것이며, 선공 직장 임효돈과 녹사 최효남도 안여를 감독하여 제조하면서 장식한 쇠가 또한 견고하게 하지 아니했으며, 대호군 조순생은 안여가 견고하지 않은 곳을 보고 장영실에게 이르기를, 반드시 부러지거나 부서지지 않을 것이오 라고 하였으니 모두 형률에 의거하면 장형 1백대를 쳐야 될 것입니다.하니, 임금이 장영실에게는 2등을 감형하고 임효돈과 최효남에게는 1등을 감형하며, 조순생에게는 처벌하지 않도록 명하였다.로 기록되어있습니다.즉 처벌에 대한 첫 반응은 장영실은 2단계 강등이었고 그것도 의금부의 주장보다 가벼운 것인데 이때 같이 언급된 장영실, 임효돈, 최효남 조순생이고 장영실과 임효돈, 최효남이 처벌을 받은 것으로 이후 처분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장영실은 의금부에서 80대의 장형을 받고 파직된 것으로 보입니다.
Q. 예술가 미켈란젤로의 작품 중 대표적인 작품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켈란젤로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시스티나 천장화가 있습니다.이는 천지창조, 인간의 타락, 노아 이야기 등 구약성서의 내용을 소재로 3장 9화면으로 구성되며 성당입구부터 술에 취한 노아, 대홍수, 노아의 희생, 아담과 이브의 원죄와 낙원 추방, 이브의 창조, 아담의 창조, 땅과 물의 분리, 해와 달의 지구의 창조, 빛과 어둠의 창조 순으로 제작되었습니다.화면 사이 천사나 예언자 또는 역사를 그려넣어 복잡하고 다양한 인간군상을 표현, 천장 중심에 아담의 창조가 배치되어있는데 이는 당시 벽화를 그리는데 많이 사용한 프레스코 기법을 사용했습니다.
Q. 일본의 메이지 유신은 어떤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 메이지 천황 때 왕정복고를 이룩하고 근대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실시한 변혁의 총칭으로, 이 유신으로 일본은 근대적 통일국가가 형성되었으며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가 성립, 정치적으로 입헌정치가 개시, 사회, 문화적으로 근대화가 추진되었습니다.국제적으로 제국주의 국가가 되어 천황제적 절대주의를 국가구조의 전분야에 실현시키게 되었으며 유신을 이룩한 일본은 구미에 대한 굴종적 태도와 달리 아시아 여러 나라에 대해 강압적, 침략적 태도로 나왔으며 1894년 청일전쟁 도발, 1904년 러일전쟁의 도발은 그 대표적인 예, 그 후 무력으로 조선을 침탈한 것입니다.이러한 군국주의의 종말은 1937년 중일전쟁을 유발, 1941년 미국의 진주만 공습으로 태평양전쟁을 일으켜 독일 이탈리아와 함께 제 2차 세계대전에 참여, 그 결과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는 비극을 자초했습니다.
Q. 태평양 전쟁에서 ‘미드웨이 해전’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평양전쟁 초기 1942년 6월 5일에서 7일에 걸쳐 하와이 북서쪽 미드웨이 앞바다에서 있었던 미, 일 양군 사이의 해전으로 6월 5일 일본군은 야마모토 해군대장이 지휘하는 전함 11척, 항공모함 8척, 순양함 18척 등 연합함대 주력과 나구모 중장 지휘하의 기동부대를 합친 350척의 대병력을 동원해 미드웨이섬의 미군기지 공격과 미해군 기동부대를 유인, 섬멸하기 위한 작전을 펼칩니다.이 작전을 입안중이던 4월 J.H. 둘리틀의 폭격기대에 의해 도쿄가 첫 공습을 받자 이 작전에 제해수역의 확대까지도 기대했습니다.그러나 색적을 게을리한 것과 암호가 미국측에 해독된 탓에 대기중이던 미국의 급강하 폭격기대의 급습을 받고 나구모 함대는 주력 항공모함 4척과 병력 3,500명 , 항공기 300대를 상실하는 참패를 당했고 제공원 상실로 작전을 중지하는 수 밖에 없었습니다.태평양 전쟁 개전 이래 태평양, 인도양에서 우위를 지켜 온 일본의 해군 기동부대는 이 해전의 패배 이후 전국의 주도권을 미군측에 내주게 되어 전쟁 수행상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