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장원급제하면 어사화는 언제부터 하사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사화 생성 시기는 조선 초기일 것으로 짐작하나 이 어휘가 직접 등재된 조선 성종, 연산군 때의 학자인 성현의 저서 용재총화에 나오므로 이 책이 경주에서 발간된 중종 20년인 1525년으로 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어사화에는 어떤꽃들이 사용되었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사화는 조선시대 문무과에 장원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 꽃으로 두개의 대나무에 장식된 종이꽃은 나팔꽃을 상징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은인자중은 무슨뜻인가요? 이런 시련은 살아가면서 얼마든지 겪게 되는 일이야 화가 나겠지만 은인자중하며 기회를 봐야해 은인자중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참으며 신중하게 행동함, 겉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 자신의 도리를 신중하게 깨달아 가는 모습을 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반지는 역사적으로 언제부터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프로메테우스가 헤라클레스의 도움을 받아 코카서스의 바위산에서 풀려난 뒤 기념으로 반지를 끼었고 그것이 세상에 전파되었다고 하며 로마시대의 반지는 도장으로 쓰였습니다. 로마 제국 시기 남성들의 인감 역할로 인장반지를 사용했다고 합니다.북유럽 신화에서는 안드바리의 반지라는 저주의 반지가 있고, 중세 유럽에서도 그리스, 로마의 전통을 물려 받아 왕이나 황제의 옥새를 반지 형태로 만들어 끼고 다녔습니다.한국사에서도 반지는 천마총 등 고대 신라 고분에서도 부장품으로 금반지가 10개, 즉 모든 손가락에 하나씩 끼고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적으로 종교재판은 왜 하였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단을 근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이었으나,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한 공인 이후 기독교와 로마 제국의 통치 체제가 통합해 가면서 기존의 정통과는 다른 사상을 용인하는 것은 통치 체제의 안정을 위험하게 만들 소지가 커지게되며, 교리에 대해 다른 의견이 제시될 경우, 의견의 대립이 일어날 경우 자주 교회회의나 공의회를 열어 판단, 오류로 간주된 설은 이단으로서 거부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천지 교리는 기존의 기독교 교리와 다른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천지는 종말론으로, 1966년 창립한 장막성전을 중심으로 요한계시록의 예언이 성취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하며 12지파 144,000명과 흰무리가 완성되면 하늘에 있는 거룩한 성 새예루살렘이 지상에 내려와 신인합일을 이루어 사람이 죽지않고 영생한다고 주장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수갑산이라는 말은 지역이름인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함경남도의 삼수군과 갑산군을 통칭하는 말로 관용어로는 사람의 발길이 닿기 힘든 험한 오지, 몹시 어려운 지경이나 최악의 상황을 의미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유방백세는 무슨뜻인가요? 유방백세할 큰 업적은 못 남길지언정 내삶을 헛되이 살 수는 없지 아니한가 여기서 유방백세는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향기가 백대에 걸쳐 흐른다는 뜻으로, 높은 도덕적 품성이나 인간적 가치가 시대를 초월해 영원히 기억될 것임을 의미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응대여류는 무슨 뜻인가요? 허 참 그렇게 응대여류 하니까 자네가 어디 가서 굶어 죽지는 않겠구나 여기서 응대여류가 무슨 뜻인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물 흐르듯 응대한다는 뜻으로 응대하는 말이 매우 유창하거나 사물의 처리가 매우 신속함을 이르는 말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안면수심은 무슨 뜻인가요? 국회는 신성한 입법기관의 산실이 되어야지 안면수심의 난장판이 되어서는 안되는 곳이다 여기서 안면수심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얼굴은 사람의 모습을 하였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사람의 도리를 지키지 못하고 배은망덕하거나 행동이 흉악하고 음탕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남의 은혜를 모르거나 마음이 몹시 흉악하고 음탕한 사람을 말합니다.
6066076086096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