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회적 불평등 장애인 불편등 현상의 원인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애인은 일반인에 비해 소득이 적고 소비지출 또한 평균보다 떨어지는 등 낮은 삶의 질을 영위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정부에서 장애인의 취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줘야 하지만 기업들은 장애인의 고용을 선호하지 않고, 장애인도 취업의 분야가 극히 제한되어 원하는 일을 쉽게 할수 없는 상황입니다.장애인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으로 장애인은 비정상적인 인간관계, 사회적 규범 무시, 타인에 대한 의존 등 사회 체제를 불편하게 만든다는 인식도 있어 , 이를 타파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들이 있어야 합니다.
Q. 독도가 일본의 영역이라고 하는 근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이 독도를 자신들의 땅이라고 우기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로1. 일본은 1600년대부터 독도를 이용했기 때문에 그때부터 일본 땅이라는 주장으로 일본은 옛날에 한국은 독도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그러나 일본은 1600년대부터 울릉도 근처에서 고기잡이를 했다. 독도는 일본에서 울릉도를 가는 길목에 있는 섬이므로 자연스럽게 그곳에 머무르면서 고기잡이하는 곳으로 이용했다. 따라서 독도는 일본이 먼저 발견했고, 실질적으로 일본이 먼저 이용한 일본 땅이다. 라는 주장입니다.2. 1905년 일본 시마네 현의 발표로, 일본은 독도가 주인이 없는 땅이었고 주인없는 땅은 먼저 차지한 나라가 소유하는 것이라며 독도를 빼앗았고, 1905년 일본이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빼앗은 해이기도 합니다. 일본은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며 시마네 현의 땅으로 삼았고 시마네 현에서 2005년 다케시마의 날을 만든것도 이 때문입니다.3. 광복 후 일본이 미국, 영국, 중국 등과 맺은 조약 내용으로 제 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일본은 1951년 미국, 영국, 중국 등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맺는데 이 조약에 일본이 강제로 뺏은 우리나라 땅을 돌려준다고 되어있으나 독도를 돌려준다는 문구가 없기때문에 이 조약을 근거로 1910년 이후 빼앗은 땅만 되돌려주고 독도는 그 이전부터 자신들의 땅이었기 때문에 되돌려주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합니다.
Q. 과거 식민지 시절에 왜 그렇게 사탕수수를 많이 재배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설탕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게 되는데 당시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대규모 농지에서 막대한 양의 인력을 투입해 대규모로 작물을 재배하는 상업적 재배 시스템이 없었습니다.당시 유럽도 설탕의 수요를 충족시킬만큼 충분한 양의 작물을 재배할 수 없었고, 주변국들에서도 유럽인들이 소비할 만큼의 막대한 양의 사탕수수를 재배하지 않았습니다.이때부터 영국, 프랑스, 스페인 등 일부 국가들에 의해 플랜테이션이라는 새로운 작물 재배 유형이 식민지를 통해 시작되게 됩니다.이후 값싼 노동력을 얻기 위해 다른 대륙으로 눈을 돌리게 되며 노예무역이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