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태인 학살은 왜 이뤄지게 된건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부터 독일에서는 반유대주의 사상이 싹트고있었고, 제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나치당에 가입한 히틀러는 반유대주의 감정을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히틀러는 게르만족 우월주의 사상을 가지고있었고, 1차 세계대전 패배의 원인을 다른 곳에서 찾아야만 했습니다.독일인이 아닌 다른 구성원 때문에 전쟁에서 패했다는 이유를 찾아야 했는데, 그 대상이 유대인으로 유대인의 배신과 무능함으로 전쟁에서 진 것이라 생각 즉, 전쟁 패배의 원인을 유대인에게 덮어씌우게 됩니다.당시 유럽에서는 유대인들의 자본이 아주 큰 영향력을 발휘했는데, 히틀러는 이들의 자본을 흡수하기 위해 반유대감정을 드러낸 것으로, 유대인 학살의 토대를 만드는 과정이 계속 진행된겁니다.1929년 벌어진 경제 대공황을 틈타 반유대주의를 강화,이로 인해 대중들의 분노를 유도, 반유대주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히틀러의 연설로 인해 반대유주의가 자리잡았고, 1933년 나치당이 집권하면서 유대인은 공직에서 쫓겨나기 시작, 1935년 유대인과 독일인 사이 혼인 금지 시민권 박탈, 1936년 유대인은 의사, 교수, 변호사 자리에 있을수 없게 됩니다.1938년부터 본격적인 탄압을 시작하게 되는데 제 2차 세계대전 발발로 유대인의 재산을 강제 매각, 1940년 유대인들을 수용소로 강제 이주시키기 전 일정 구역으로 강제 이주시켜 거주하도록 합니다.1941년 히틀러는 유럽에 사는 유대인을 전멸시키기로 하고 최초의 학살 수용소를 만들고 후 7곳으로 확대, 1942년부터 유대인을 전면적으로 학살하기 시작합니다.
Q. 을사조약은 어떤 배경에서 체결되었으며, 어떤 내용을 포함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러시아에 대해 선전포고를 하기에 앞서 1903년 12월 이미 대한제국을 일본의 영향력 아래에 둘 것을 내각 회의에서 결정, 그에 따라 1904년 일본은 러시아에 대해 선전포고를 하고 인천에 병력을 투입하여 대한제국 황성을 점령함과 함께 러일전쟁을 일으켰으며 대한제국에 한일의정서에 체결을 강요하며 이른바 공수동맹을 맺고 전쟁에 대한 지원을 받았습니다.이 전쟁으로 체결된 포츠머스 강화 조약에 의해 러시아는 대한제국에서 손을 떼게 되며 , 이후 대한 제국 고종이 본 조약에 대한 무효를 선언하기 위해 특사를 파견하자, 이를 구실로 일본은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고종의 폐위 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제 3차 한일 협약을 강요해 체결합니다.이 조약이 체결됨으로 대한제국은 청나라의 보호국이 아닌 일본의 보호국으로 전락하게 됩니다.내용으로는1. 일본국 정부는 재동경 외무성을 경유하여 한국의 외국에 대한 관계 및 사무를 감리, 지휘하며 , 일본국의 외교대표자 및 영사가 외국에 재류하는 한국인과 이익을 보호한다.2. 일본국 정부는 한국과 타국 사이에 현존하는 조약의 실행을 완수하고 한국 정부는 일본국정부의 중개를 거치지 않고 국제적 성질을 가진 조약을 절대로 맺을 수 없다.3. 일본국정부는 한국 황제의 궐하에 1명의 통감을 두어 외교에 관한 사항을 관리하고 한국 황제를 친히 만날 권리를 갖고, 일본국정부는 한국의 각 개항장과 필요한 지역에 이사관을 둘 권리를 갖고, 이사관은 통감의 지휘하에 종래 재한국 일본영사에게 속하던 일체의 직권을 집행하고 협약의 실행에 필요한 일체의 사무를 맡는다.4. 일본국과 한국 사이의 조약 및 약속은 본 협약에 저촉되지 않는 한 그 효력이 계속된다.5. 일본국정부는 한국 황실의 안녕과 존엄의 유지를 보증한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