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거 버스 운행 시절에 왜 여성 버스 도우미가 있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버스안내양은 1961년 6월 17일 김광옥 교통부장관이 여차장 제도를 도입하면서 시작, 1980년대 말까지 존재했습니다.이들의 역할은 버스에서 승객에게 하차지를 안내하고 버스 요금을 받으며 출입문을 열고 닫는 역할, 푸시맨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당시 버스기사나 승객에게 있어 많은 편의성을 제공해주던 직업이었는데 현재의 버스기사는 운전부터 승객 승, 하자 확인까지 맡아야 하지만 안내양이 있으면 이런 관리적인 부분을 안내양이 보조해주기때문에 운전에만 전념할수 있었고, 당시는 문이 하나였거나 두개일지라도 승차 전용 입구에서 안내양이 돈을 받고 태워줬기 때문에 요금 징수를 기사가 신경쓸 필요가 없었습니다.또 승객에게는 안전한 하차를 보장해줬는데 아무리 출입문에 거울과 중문 안전센서가 있어도 인간이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보다 못하기 때문입니다.
Q. 율곡 이이가 저술한 '성호사설'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책은 이익이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지리, 풍속, 역사, 사상, 서학 등에 관해 쓴 글들과 제자의 질문에 대답한 내용을 1761년 그의 조카들이 정리한 백과사전적인 전서 입니다.성호사설에서는 자전에 관련된 내용도 수록되어있습니다.223항으로 구성된 천지문은 천문과 자연과학, 자연지리 및 역사지리에 대한 내용, 368항의 만물문은 의식주의 생활문제와 화초, 화폐, 도량형, 기구 등을 수록, 인사문은 인간의 사회생활과 학문에 대한 내용을 담았는데 정치, 경제, 인물, 사건, 사상 에 대한 990항목이 실려있으며, 경사문은 유교과 역사에 대한 1048항목, 시문문은 중국과 조선의 시와 문장에 대한 비평 378항목이 실려있습니다.학문의 방향을 넓게 잡아 세계와 사회를 총체적이고 구체적으로 인식하려는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수광의 선구적 저술인 지봉유설을 이어받았고, 내용의 중심은 경학과 경세에 두었으며 수자는 공자, 맹자 당시의 원시 유교의 학문으로 돌아가 요순의 도와 삼대의 정치를 현실에 되살려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것 자체가 점점 주희의 저술에 속박되어 가던 당시 조선의 사상계에서 개혁성을 지니는 입장이었습니다.
Q. 첨성대의 제작목적이 과연 별자리 관측용으로 만들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복 이후 첨성대 용도에 대해 다른 견해가 등장하는데, 삼국사기에는 첨성대의 기록이 등장하지 않고, 삼국유사에는 명칭과 용도, 사람이 오르내렸다는 기록이 있으나 실제 그렇다고 해도 내부가 매우 좁고 불편하며, 천문 관측을 하는 시설인데 다른 천문대처럼 산 위나 높은 곳이 아닌 왕궁옆의 평지에 건설되었다는 것도 의문으로 제기됩니다.다만 산 위로 올라가야 천문 관측이 가능하다는 생각은 도심지가 개발된 현재 시점에서의 생각이고, 당시 전등이 없던 시기 천문 관측을 방해할 빛 공해도 없으며, 지상에서 10m더 올라가도 딱히 별 관측에 전혀 도움이 안됩니다.그래서 첨성대의 역할이 천문대가 아닌 일종의 기념비, 제단 , 창고 였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는데, 문헌적, 고고학적 증거가 없어 확신이 불가능하며 주류 할계에서는 정사에 기록된 통설과 신라 천문 기록의 정황 연구 등을 토대로 첨성대가 천문대였음을 정론으로 받아들입니다.
Q. 역사를보면 왕의이름이 조나 종으로 끝나던데 어떤차이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묘호 중 종호르 붙일 때 세가지 원칙이 이었는데 가장 중요한 원칙은 나라를 세운 왕에게는 조, 선왕의 뜻을 계승하여 나라를 잘 다스린 왕에게는 종을 붙였습니다.또 후대에 이르러 모든 군주들에게 묘호를 붙일때 공이 있으면 조, 덕이 있으면 종으로 나라를 구한 공이 있다면 조, 나라를 덕으로 다스린 이에겐 종이 붙었고, 새롭게 일어나면 조, 계승하면 종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