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럽에서 사람의 피를 빨아 먹는다는 뱀파이어가 발생하게 된 역사적 배경이나 연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럽의 흡혈귀 전승의 대부분은 발칸반도의 슬라브 민족지역에 퍼져있지만 전승 그 자체는 거의 전 유럽 국토에 존재하며 아나톨리아반도와 보르가강 연안 지역에서까지 확인 됩니다.슬라브 민족은 4세기 경부터 흡혈귀의 존재를 믿었고 민화에 따르면 흡혈귀는 생피를 마시며 은을 무서워한다고여겨졌고, 목을 절단해 시체의 다리 사이에 두거나 심장에 나무로 만든 말뚝을 박으면 흡혈귀를 없앨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오늘날 흔히 아는 흡혈귀는 고대 루마니아 전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고대 루마니아는 예부터 여러 종교나 문화가 서로 뒤섞이는 과정을 경험, 다른 종교와 문화간의 격차, 다른 지역에서 온 유민들과 같이 들어온 역병의 확산으로 의한 대량 죽음 등에 대한 대답으로서 흡혈귀 전승이 태어났다고 추정됩니다.
Q. 조선시대 군사 착호갑사는 어떤 사람들이 뽑혔고, 얼마나 많은 호랑이를 잡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착호갑사는 1421년 당번, 하번 각 20명씩 처음 제도화되었으며 그 후 갑사의 정원이 증가함에 따라 착호갑사도 늘어나 경국대전 병전에 따르면 갑사 18000명 중 착호갑사가 440명으로 늘어났으며 5교대로 88명이 6개월씩 복무하면서 체아록을 받았습니다.입속 요건으로는 세종실록에 따르면 화살촉을 나무로 만든 무예 시험용 화살인 목전을 180보에서 1개 이상 맞히기, 말 타고 활쏘기 2번 이상, 말 타고 창던지기 1번 이상, 주 , 즉 일정 시간 멀리 달리는 능력시험에서 250보이상 가기와 양손에 각각 50근씩 들고 100보 이상 가기, 즉 힘 가운데 하나에 합격한 자를 취합니다.
Q. 몽골풍과 고려양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시길 바래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의 전통 풍습에는 몽골풍의 영향을 받은 것이 꽤 많은데, 족두리의 경우 몽골 여자들이 쓰는 외출용 모자였는데 이것이 고려로 전해지며 혼례용 모자로 사용되었고, 연지곤지는 몽골 여자들이 나쁜 귀신을 쫓기 위한 풍습이었습니다.또 우리말의 벼슬아치, 갖바치 등의 단어에 치 가 붙는 것은 몽골의 영향으로, 치 는 직업을 나타내는 몽골어의 끝 글자 입니다.또 왕과 왕비에게 붙이는 마마, 세자와 세자빈을 가리키는 마누라, 임금의 음식인 수라 , 궁녀를 뜻하는 무수리 등은 주로 원의 궁중에서 쓰이던 이름들로 원 출신 공주들의 영향으로 고려에서 사용되었습니다.음식의 경우 설렁탕은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몽골인들이 양고기를 삶아 국물을 만들어 먹은 것에서 유래, 고려는 불교국가라 고기를 잘 먹지 않았으나 몽골의 영향으로 고기가 든 만두를 먹게되었으며 소주, 호떡 또한 몽골의 영향으로 고려에 전해진 음식입니다.
Q. 세종때 간행된 농사직설에는 어떠한 내용들이 쓰여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농사직설의 내용은 대부분 중요한 곡식류에 국한해 간단하게 기술되었지만 삼남 지방에서 실제 행해지고 있는 농사 관행을 채방해 우리나라 풍토에 맞는 농법으로 편찬되었으며 10항목으로 나누어지며 벼의 재배법, 경작 농구, 거름, 밭작물의 파종법, 경작 방식 등이 실려있습니다.
Q. 사서삼경에는 무엇이 포함되며 성립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서삼경 또는 사서오경은 성리학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경전 일곱 또는 아홉권으로 사서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이며 삼경은 시경, 서경, 역경을 말합니다.이에 춘추경 , 예경을 더해 사서오경이 됩니다.당나라때 유교 경전이 십이경으로 정리된 후 송나라 때 맹자가 중요 경전으로 자리잡으면서 십삼경이 되었고 여기에 남송시기 유학자들에 의해 예기의 대학편과 중용편이 중시되었고 논어, 맹자와 더불어 사서라 불렀습니다. 주자는 대학쳔과 중용편에 장구라는 주석을 달고 논어, 맹자에 집주라는 주석을 달아 사서장구집주를 편찬, 사서에 삼경을 더한 것이 사서 삼경이고 오경을 더한 것이 사서오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