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최은서 전문가
성신학원
미술
미술 이미지
Q.  이순신 장군 하면 거북선으로 유명한데 거북선을 실제 발명한 사람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대용은 조선 최고의 선박 기술자로 해전에서 기술적 우위를 가지게 한 핵심 기술자로 거북선을 개발했다고 알려져있습니다.그러나 공식 기록에는 등장하지 않고 야사에만 등장하는 내용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 1차 대전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00년 제국주의가 시작되면서 경제적인 측면이 가속화 되고, 각국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서로 경제적인 대립을 하게 됩니다.이 시기 독일과 영국은 서로 강력하게 대립하며 유럽의 경제발전과 세계 경제를 이끌었는데 두 나라 뿐 아니라 유럽 국가들은 자국에 이익을 위해 움직이게 되고 나라마다 충돌이 발생, 경제권을 차지하기 위해 전쟁이 시작됩니다.유럽이 빠른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변화로 빠른 발전을 위한 생산품 판매를 위한 식민지가 필요, 각 유럽국가들은 생산품을 팔수있는 식민지를 쟁탈하기 위해 쟁탈전을 벌이게 되고 실속있는 식민지를 서로 갖기 위해 경쟁하고 이런 경쟁이 전쟁으로 번지게 됩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사자성어 '만강혈성(滿腔血誠)' 의 명확한 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만강혈성은 찰 만, 속 빌 강, 피 혈, 정성 성으로 가슴속에 가득 찬 진실에서 우러나오는 정성을 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도, 우산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우산은 지우산, 도롱이, 갈모, 지삿갓 등을 사용했으며 우산의 옛말은 슈룹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자주는 사용하지않았던 사자성어였던것 같은데 “길에 떨어진 물건을 줍지않는다”다는 말로 나라가 잘다스려져 사회가 안정돼좋다는 의미의 사자성어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불습유는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의미로, 법이 잘 지켜져 나라가 태평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통조림캔 에 대한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폴레옹 전쟁이 한창일때 프랑스군은 밀봉한 유리병에 음식을 담아 저장하는 병조림을 이용했는데 병조림은 소재인 유리병이 가볍지 않고 깨지는 단점이 있어 군대가 구르는 험한 야전 상황에서 신뢰도가 매우 낮아 야전 보급에 쓰기에 불편했습니다. 이런 문제 때문에 당시 적국 영국의 피터 듀런드가 1810년 양철로 만든 석관제조법을 개발, 이후 초창기 통조림의 불량을 완전히 해결한 1819년 제대로된 통조림이 출시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남한산성은처음 언제 성곽을 쌓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한산성은 신라 문무왕때 쌓은 주장성의 옛 터를 활용해 1624년 인조 2에 축성하였습니다.남한지에 따르면 원래 심기원이 축성을 맡았으나 그의 부친상으로 인해 이서가 총융사가 되어 공사를 시작, 1626년 7월에 마쳤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과거 로마에서 10분의 1형이라는 처형을 썼는데 어떤 때 사용하는 형벌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로마군에서 부대 전체가 처벌 대상일 때 선고 할수있는 부대 내에서 임의로 선택된 군인의 10분의 1을, 뽑히지 않은 나머지 군인들이 처형하는 방식입니다.처벌이 합당하다 판단되면 처벌 대상자 중 10분의 1정도를 제비뽑기로 뽑았고, 백인대 혹은 대대가 그 대상이었습니다.뽑히지 않은 90명의 병사가 전우 10명의 군복을 벗긴 후 둘러싸고 몽둥이, 채찍, 돌 등으로 때려 죽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국의 영어이름 china의 유래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유력한 설은 진나라의 친(chin)에서 유래했다는 설로 , 이것이 산스크리트어에서 중국 지역을 칭하는 이름인 치나 가 되었고 이 낱말을 포르투갈 상인들이 페르시아어를 거쳐 수입해 전 유럽에 보급했다는 설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넓은 양해와 너른 양해 구별해 쓰는 건가요?? 어떨때 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음쓰는 것이 크고 너그러운 뜻을 뜻하는 '넓은' 이나 마음을 쓰는 것이나 생각하는 것이 너그럽고 큰 을 뜻하는 '너른' .둘 다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8168178188198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