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꼰대'라는 표현은 인문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인, 기성세대나 선생을 뜻하는 은어인데 원래의 의미에서 의미가 확장, 변형되어 연령대와는 상관없이 권위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윗사람 또는 연장자를 비하하는 멸칭이 되었습니다.안타깝게도 이러한 멸칭으로 인하여 세대를 구분짓거나, 윗세대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이나 고정관념이 많아지게 되며, 아랫세대들은 윗세대의 사상들을 비판하거나 무시하는 현상이 다분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Q. 웰링턴 장군이 워털루에서 전투의 신, 나폴레옹을 무찌를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이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합군은 애초에 웰링턴의 심각한 오판으로 꺄트르 브라에서 기습을 당했지만 프랑스군 역시 의도한 기습이 아니었으므로 전력의 손실이 비교적 적은 상태로 계획했던 전장인 워털루 지역에서 프랑스군을 맞아 싸울수 있었고 이전의 전쟁에서 비교적 다른 유럽국가에 비해 패배가 적어 정예부대가 많이 유지되었으나 영국군 역시 반도 전쟁에서 싸웠던 수준의 정예부대가 아니었습니다.나폴레옹이 엘바로 유폐된 후 많은 부대가 해체되고 일부 부대는 북아메리카로 파견되어 미영전쟁에 투입되었고 고참 정예병들은 제대하거나 예비역이 되었습니다. 워털루 전투에는 이런 예비역들이 다 복귀하지 않아 상당수 부대들이 전투를 경험한 적이 없는 신병으로 구성, 그나마 위고몽과 라에상트의 두 요새가 잘 버텨줘서 프로이센군이 올때까지 프랑스군을 막아낼수있었습니다.프로이센군은 나폴레옹에게 계속 괴롭혀져왔기 때문에 정예부대라고 할 만한 부대도 남아있지 않았고 리니에서 작전상의 우를 범해 전투에서 대패하며 전멸 직전까지 몰렸지만 프로이센군을 경멸하며 끝까지 추격해 전멸시키지 않은 나폴레옹의 자만심과 블뤼허의 나폴레옹에 대한 복수심, 뛰어난 상황판단과 결단으로 워털루 전투의 마지막을 장식할수있었습니다.
Q. 조선시대 연산군은 동물 애호가라고 하던데, 그가 키운 애완동물은 어떤 종류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산군은 당나귀, 말, 개, 고양이, 사냥개, 양 등의 가축과 여우, 기러기, 뱀, 등의 야생동물도 키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