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Q.  화성에 인간이 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인간이 화성에 여행의 개념으로 가는것은 먼 미래에 가능하겠지만 정착하는것은 매우 어려운 도전이지요~! 이는 지구와 화성의 환경이 매우 다르기 때문인데요. 지구의 평균 기온이 15도지만, 화성은 -63도, 대기압이 지구는 1이지만, 화성은 0.006기압, 지구의 대기구성은 78%가 질소, 21%산소지만, 화성은 95%가 이산화탄소, 0.1%가 산소, 지구 자기장이 방사선을 보호하지만 화성은 그렇지 못한다는 특징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성에 생명체가 살기 위해선 지하기지를 건설하거나 우주복을 필수로 입고 다니거나 인공 대기 및 온실돔과같은 특수한 상황을 만들어 내야 하는것입니다! 화성에 액체 상태의 물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끼에 물도 만들어야 하지요~ 그렇기에 현실적으로 가까운 미래에 여행은 가능하지만 정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수도 있을것같습니다!
Q.  지구를 중심으로 별빛을 받아들여 천문사진을 찍는데 어떻게 사진이 깔끔하게 나오는 건가요?
별들의 빛은 우주 전역에서 퍼져나오지만 만ㅇ원경은 특정한 시야에서만 포착되지요~! 지구가 모든 별빛을 받는것이 아니라 망원경이 관측하는 특정 방향의 빛만 모으게 되는것입니다! 망원경이 하늘 전체를 찍느넛이 아니라 매우 좁은 범위의 하늘을 확대하여 관측하기에 특정 별이나 성운, 은하를 중심으로 배경이 깔끔하게 나오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것입니다! 별들의 발기는 모두 다르기에 사진을 찍을때 밝기가 서로 다른 별빛을 조절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고 노출 시간을 조절하거나 필터를 사용한 색과 밝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게 하는 것이지요! 천문사진을 깔끔하게 찍게 하는 또다른 이유중 하나로는 우주엔 별이 없는 빈공간도 많기 땜누입니다! 우리은하엔 2천억개의 별이, 우리 우주엔 2조개의 은하가 있어 굉장히 만흔 별들이 있찌만 실제로는 별과 별 사이의 ㅓ리가 어마어마하게 멀기때문에 별들이 겹쳐보이지 않게 되고 배경이 검게 보이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천문사진은 촬영한 그대로 사용하는것이 아니라 후처리 작업도 하게 되고 배경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대비를 조절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나타나게 됩니다!
Q.  봄,가을이 짧아지는게 지구온난화때문인가요?
지구온난화는 지구 전체의 기온을 상승시키는 현사으로서 그 영향으로 기후가 극단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온난화로 인하여 봄철 기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봄이 빠르게 여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가을철에도 온도가 높은 기간이 길어지면서 여름이 늦게까지 지속되고 있찌요~! 여름은 길어지면서 더욱 더워지고 겨울은 짧아지면서도 추위가 강해지는 경향을 보이게 합니다. 계절 변화가 점진적이지 않고, 갑자기 더운 날씨나 추운 날씨로 바뀌는 일이 많아지게 되고 봄과 가을이 점진적으로 지나가는 대신 갑자기 더워지거나 추워지는 극단적인 변동성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예전엔 4계절이 뚜렷했지만 봄과 가을이 건너뛰는것처럼 짧아지게 되었따는 것이지요~! 기후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1950년대 이후 여름이 길어지고 봄과 가을이 짧아지는 경향을 확인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기상청의 연구에 따르면 최근 30년의 비교 결과 여름이 약 20일 정도 길어지고 봄과 가을이 10일 이상 짧아졌따고 하지요~!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온도 상승속도는 증가하고, 제트 기류의 흐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상기후 현상이 증가하게 되는 경향성을 나타내게 되었답니다!
Q.  바이킹이개척한..아이슬란드는..
아이슬란드는 바이킹이 개척한 나라로서 빙하와 화산, 온천, 지진이 많은 환경으로서 극한의 기후를 가지고 있지요! 가축은 방목과 실내 사욕을 병행하여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슬란드에선 양, 말, 소, 순록, 닭, 오리, 염소 등을 키우고 있으며 화산재 토양이 비옥하여 풀과 건초가 잘 자라 초지의 방목이 가능하며 온천이 많아 겨울에도 비교적 따뜻하기에 동물의 추위를 보호하며 동물들이 혹독한 겨울을 견딜수 있도록 실내 축사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Q.  왜 달은 낮에도 보일때가 있지만 해는 밤에 절대 안보일까요?
태양은 지구의 반쪼감ㄴ 비출수 있는데 지구가 자전하면서 한쪽만 태양을 향하게 됩니다. 지구는 하루에 한바퀴 호전하며 태양을 향하는 부분이 낮, 반대쪽은 밤을 만들게 되는것이지요~! 태양은 우주 전체를 밝히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한쪽 ㅕㅁㄴ만 비추는 점광원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밤이 되는 부분에는 태양빛이 도달하지 않기에 태양을 볼수 없게 되는것입니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이러한 태양빛을 반사하는 천체입니다! 낮에도 달이 태양빛을 받아 밝게 빛날수 있으며 우리가 볼수있는 조건이 맞게 되면 낮에도 달이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달은 지구 주위를 약 27.3일 주기로 공전하며 매일 위치가 달라지게 되는데 달이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되면 낮에 보이기도 하며 반대에 있으면 밤에 더 잘 보이게 되는것입니다! 초승달이나 상현달일땐 낮에도 보일 가능성이 높고 보름달이나 하현달은 밤에만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낮엔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도 ㅣ는것이 레일리 산란이라는 현상때문인데 태양빛이 대기에서 산란되면서 파란색이 강하게 퍼지기에 하늘이 밝아지고 상대적으로 달의 밝기가 약해져 잘 안보이게 될수도 있습니다! 달이 충분히 밝거나 하늘이 맑을경우엔 낮에도 달이 보일수가 있께 됩니다!
2512522532542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