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바다가 소금기 많아진 이유가 무엇이며 최초의 바다가 만들어졌을때부터 염분이 높은건가요?
초기의 바다는 염분이지금보다 훨씬 적었다고 하빈다. 지구가 처음 형성되었을때는 바다가 순수한 물이였꺼나 거의 담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지요. 시간이 흐르면서 염분이 바닷에 축적된것으로 보이는데 이는강물과 지각에서 녹아 나온 광물의 침식으로 인하여 생겨났따고 보고 있습니다. 암석엔 나트륨, 염소, 칼슘, 마그네슘 등의 다양한 무기염류를 가지는데 이러한 성분들이 강물을 타고 바다로 흘러가며 염분이 축적된것이지요! 나트륨과 염소가 바다에 쌓이게 되며 소금을 많이 만들어내게 된것입니다! 바닷속에 있는 해저 화산과 열수 분출구가 바닷물에 방출되며 염분의 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하였으며 이들이 농축되며 현재의 바닷물이 된것입니다!
Q. 별의 밝기로 어떻게 별의 거리를 알 수 있는 건가요?
별까지의 거리를 직접 재는것은 불가능하지만, 별이ㅡ 밝기를 이용하면 그 거리를 추정하게 할수 있습니다! 광도, 겉보기등급, 절대등급이 그 개념인데요 별이 멀어질수록 우리 눈에 보이는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는 광도 거리의 법칙을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거나, 연주시차법을 활용하여 태양에서 가까운 별을 6개월 간격으로 ㅛ관측하여 d=1/p로 계산하는 것이지요! 또한 세페이드 변광성이나초신성의 밝기 변화를 가지고도 파악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