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Q.  별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어떤 것일까요? 별까지의 거리일까요? 아니면 밝기 일까요?
별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밝기이빈다! 밝기는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ㅇ로 나누어 지게 되는데 겉보기등급이랑 지구에서 보이는 밝기를 기준으로 등급을 매긴것이며 별이실제로 얼마나 밝은지와 관계없이 지구에서 얼마나 밝게보이느냐가 중요하게 됩니다. 거리가 가까운 별일수록 본래 밝기가 높을수록 겉보기등급이 낮아지는것이지요. 절대등급은 별이 10파섹 거리에 있다고 가정했을때의 밝기를 기준으로 하는것이며 별 본연의 밝기를 의미하게 되는 것입니다! 등급의 숫자가 클수록 어두운것은 기원전 2세기 그리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별이ㅡ 밝기를 처음 분류했는데 그는 처음에 밝은별을 1, 어두운별을 6으로 정하였고 익숙해진 이 상황에서 현재까지도 계속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Q.  별똥별이 떨어지는 것을 자주 봤는데요. 지금도 정확히 별똥별이 무엇인지 모르겠어요. 별똥별의 뜻은 무엇인가요?
별똥별은 별이 아니라 우주에서 떨어지는 작은 돌이나 먼지가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타오르는 현상입니다. 지구의 중력에 의해 끌려 들어온 유성체가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공기와의 마찰로 극도로 뜨거워지게 되어 빛을 방출하는데 이 들이 움직이는 속도는 초속 11~72km로 굉장히 빠르게 움직이기에 밝게 빛나는 줄무늬 모양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유성체는 대기권에서 타버리지만 크기가 큰 유성체는 완전히 타지 않고 지표면에 도달하는것을 우넛ㄱ이라고 하지요 이를 통해 우주의 기원과 태양계의 형성 과정등을 연구할수 있답니다! 유성우란 일정한 시기에 많은 유성이 비처럼 떠렁지는 현상을 의미하는데요. 혜성의 궤도를 따라 우주 먼지가 남아있고 지구가 이 먼지 구름을 지나가면서 별똥별이 집중적으로 나타나게 된답니다!
Q.  인류 최초로 지구궤도 우주 비행에 성공한 우주인은 누구인가요?
인류 최초로 지구 궤도 우주 비행에 성공한 우주인은 유리 가가린입니다! 1961년 4월 12일 소련이ㅡ 우주비행사였던 그는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지구 궤도를 1회 돌며 인류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에 성공하였으며 약 108분 동안 지구를 한바퀴 공전한 후 무사 귀환하였습니다. 이 비행은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간의 우주경쟁의 중요한 승리로 기록되며 미국의 아폴로 프로젝트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지요!
Q.  지구 자기장에 양자 얽힘 현상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을까요?
양자얽힘이란 두개 이상의 입자가 서로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이써도 순간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현상으로 전자기파, 중력, 지구자기장 같은 거시적인 물리적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게 됩니다. 양자얽힘상태는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쉽게 깨질수 있습니다. 이는 외부 간섭에 의해 쉽게 붕괴되고 강한자기장이나 얽힌 입자의 상태를 변화시켜 얽힘을 깨드릴수도 있게 됩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대략 25~65 마이크로테슬라로 상대적으로 약한 자기장인데 이는 원자 수준의 양자 상태에 큰 영향을 주이 낳게 되지요~
Q.  지구에 존재하는 물중 소금물은 얼마나되나요?
지구상의 97.5%가 소금물이며 나머지 2.5%만 담수인 민물입니다! 담수는 빙하68.7, 지하수 30,1 호수 강물 대기 1.2%정도입니다!
2612622632642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