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얼마나 되나요?
지구는 서에서 동으로 자전하게 되는데 하루에 한바퀴씩 23시간 56분 4초 동안 자전하게 되지요~ 약 24시간이라고 하게 됩니다! 지구는 적도에서 가장 빠르게 회전하게 되며 극지방에선 회전 속도가 거의 0에 가깝게 됩니다! 적도에서 지구의 둘레는 약 40,075km이고 하루에 한바퀴씩 돈다고 가정하면 속도= 1,674km가 되게 될것입니다! 위도가 높아질수록 회전 반경이 0에 가까워지기에 자전속도는 0에 가깝게 되는 거시지요! 자전속도는 완전히 일정하진 않으며 미세하게 변동되는데 달의 중력에 의한 조석마찰효과로 점점 속도가 느려지며 지구 내부의 핵 운동으로 인해 자전 속도에 영향을 주며, 빙하가 녹거나 대륙의 얼음이 이동하게 되면 질량이 재분배되며 자전 ㅗㅅㄱ도에 미세한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또한 대기와 해류의 영향에 의해서 조금씩 변화되기도 하며 지진과 지각 변동등에 의해서도 조금씩 미세하게 변동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눈마다 무게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눈의 무게는 눈의 밀도와 포함된 수분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기온이 낮고(섭씨-5도이하)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건설과 기온이0도에 가까울때 공기중 수증기가 많으면서 형성되는 습설이 있습니다. 눈이 얼마나 무거운지는 밀도에 따라 크게 좌지우지되는데 기온이 낮을수록 공기중 수증기가 적기에 건설이 내리게 되고 기온이0도에 가까울수록 공기중의 수증기가 많기에 습설이 내리게 됩니다~ 공기중 수증기가 많게 되면 눈 입자 사이에 물방울이 달라붙게 되어 습설로 변하게 되고 습도가 낮으면 눈이 더 가벼워 건설로 유지되게 되는것이지요! 즉 0도에 가깝고 습도가 높을수록 무거운 눈이 내릴 가능성이 높게 된다는 것입니다! 습설의 경우 전선, 나무, 구조물 붕괴의 위험이 있으며 눈사태 위험을 증가시키고 도로를 결빙시키고 미끄러짐 위험을 증가시키기에 ㄱ무거운것 뿐만 아니라 각종 위험 요소들을 증가시킨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여름철에 게릴라성 호우의 빈도가 높아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 우리나라의 여름철 게릴라성 호우가 잦은것이 기후변화와 대기불안정성 증가의 결과라는 내용의 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지요~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에 따라 평균기온이 상승하였는데 여름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대기중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증가하게 되는데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지요! 대기중 수증기가 많을수록 한번 비가 내릴때 쏟아지느 ㄴ강수량이 증가하게 되는것이죠!바다의 온도가 상승ㅎ면서 증발량이 증가하게 되었고 강한 비구름을 형성하게 되는것이지요!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 더 많은 수증기가 대기중으로 공급되어 상승기류가 강해지게 되고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강한 적란운을 형성하게 게릴라성 호우를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대기의 흐름이 변하게 되면서 저기압과 고기압의 이동속도가 느려지기도 하였고 우리나라 여름철 북태평양 고기압과 장마전선이 정체되면서 비구름이 한 지역에 머무르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많은 양의 비가 한꺼번에 내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다른 지역은 햇빛이 쨍쨍한 국지적 강우 차이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도심에서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이 태양열을 흡수하여 주변보다 온도가 높아지는 열섬 효과를 발생시켜 대기의 불안정을 심화하게 되고 강한 국지성 소나기를 유발시키게 됩니다!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백두산과 일본의 후지산이 폭발할 가능성은
백두산과 후지산 모두 활화산이지요~ 그렇기에 언제든지 분화할 가능성은 있습니당! 백두산은 946년 대규모의 분화를 일으킨 이후 현재까지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었으며 2025년 백두산 폭발설을 제기하긴 하지만 최근 5년간의 관측 자료와 분화 전조 현상을 분석해본 결과 아직까지 명확한 객관적 근거는 없다고 하지요~ 그렇기에 근 시일에 폭발할 가능성은 희박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후지산은 1707년 호에이 대분화 이후 300년간 분화를 일으키지 않았는데요. 일본의 지질학자들은 이러한 오랜 침묵이 내부에 강력한 에너지가 축적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언제든 분화할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지요~! 일본 국립 방재 연구소를 후지산이 앞ㅇ로 100년 이내에 다시 폭발할 확률이 약 20%정ㄷ 된다고 보고 있따고 하지요! 백두산이 폭발할 경우 분출된 화산재는 대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기류는 서풍이 불기에 화산재는 동쪽으로 이동할것이며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약 500km떨어진 제주도는 직접적인 화산재 피해에서는 당연히 안전할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장상황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니 지소적인 모니터링은 해야겠찌요!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비행기가 날 수 있는 가장 높은 고도는 몇 킬로미터정도 되나요?
비행기가 날수 잇는 고도는 항공기의 종류와 엔진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되지요~ 일반적인 민간 항공기는 10km정도이며 최대 13km정도까지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기가 희박할수록 엔진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양력 생성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보통은 10~13km에서 ㅂ행하게 되지요~ 가장 높은 고도를 비행한 민간 항공기로는 최대 18km정도로 움직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군용기중에는 매우 높은 고도까지 상승하는 항공기도 있는데 미국의 U2정찰기(25km)나 블랙버드 Sr-71(26km) 등이 높은 고도에서 움직인다고 합니다~ 하지만 양력이 부족하기에 장시간 운행은 힘들다고 하지요~ 비행기의 한계 고도는 공기의 밀도(대기가 희박할수록 양력의 생성이 어렵기에 비행기가 떠있기 어려움), 엔진 성능(고도가 높으면 연소가 어려워 짐), 양력 생성 한계(높은 고도에선 공기가 희박하기에 날개의 양력을 감소하게 됨)때문에 이론적으로는 50km이지만 10~13km정도에서 거이ㅡ 움직이게 된답니다!
281
282
283
284
2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