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Q.  우박은 어떤 과정으로 형성이 되나요?
우박은 일반적으로 비가 눈과는 다르게 강력한 상승기류가 있는 구름에서 만들어지는데 우리는 이러한 구름을 적란운이라고 보통 이야기하지요! 대기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수증기가 높은곳까지 상승하고 상승기류가 강할경우 물방울이 영하의 높은 고도로 올라가게 되고 물방울이 얼면서 작은 얼음 알갱이가 되고 중려에 의해서 내려오려고 하는데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게 되면서 점점 커지게 되는것이지요~ 이 과정에서 얼음 층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그러다가 정말 중력의 힘을 이기지 못할때 떨어지게 되는것이지요! 우박의 크기는 상승기류가 얼마나 강하게 작용하느냐, 구름 내 습도와 빙정이 어떻게 형성되느냐, 대기의 온도부포가 어떻게 나타나느냐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게 됩니다~
Q.  우리나라에서 오로라를 보려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
오로나는 남극이나 북극같은 고위도에서 보이는 현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가 어렵습니다1 하지만 작년같은 경우 우리나라에서도 발견이 되었는데(강원도나 경기도 북쪽지역) 이는 태양 활동이 매우 활발한 시기에 가끔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2025년엔 태양이 약 11년 주기로 활발하게 움직이는 극대기로 예상되기에 중위도지역인 우리나라에서도 볼수 있을것으로 예상하는데요. 우리나라의 강원도나 동해안 지역같이 빛공해가 적고 하늘이 맑은 지역으로 가서 보아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강원도 인제나 평창 속초 등이 있다고 볼수 있겠네요! 보통 오로라는 10시~새벽2시 사이에 가장 잘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Q.  지구상에 있는 모든 모기를 없애면 생태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모기는 인간에게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등 유명한 많은 질병들을 퍼뜨리는 해로운 곤충처럼 느껴지지만 자연 생태계에있어서는 굉장히 중요한 존재입니다! 모기는 여러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곤충, 조류, 어류, 포유류 등 많은 동물들이ㅡ 먹이가 되며 일부 생태계에서는 핵심적인 존재이지요! 모기의 유충은 물속에서 유기물 분해 역할을 하며 성체 모기는 꽃가루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물고기와 개구리 등이 주요한 먹이이며 새와 박쥐의 먹이 공급원이기도 하지요~ 물론 모기가 사라지면 우리에겐 해로운 질병등이 사라질것이며 퇴치 비용등이 절감되고 무엇보다 가장 큰 모기 스트레스가 감소하게 되어 쾌적한 생활이 가능할것같네요!
Q.  별 무리로 형성된 은하수를 밀키웨이라 부르는 이유?
밀키 웨이라는 이름은 고대인들이 밤하늘을 바라보면서 은하구마 마치 우유를 흩뿌려 노흔것처럼 보인다고 생각해서 붙인 이름이라고 합니다! 이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서 비롯된것이며 로마인들이 이를 받아들이며 지금의 밀키웨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된것이지요!은하수의 기원은 헤라클레스에 있으며 헤라클레스가 제우스와 인간 여성인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반쪽짜리 신이였는데 제우스의 아내 헤라가 자신의 남편이 또 바람을 피워 아이를 낳은것에 분ㄴ하게되었고 제우스는 아기 헤라클레스를 신으로 만들기 위해 헤라가 모르게 그녀의 젖을 먹이려고 하여 헤라 몰래 그녀가 자고 있을때 가슴에 헤라클레스를 갖다 댔는데 깨어난 헤라가 화가나서 아이를 밀쳤고 그 순간 헤라의 젖이 우주로 흩어지며 은하수가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실제로 은하수는 희뿌연 띠처럼 보이며 이는 수많은 별들이 빽빽하게 모여 빛을 내기때문입니다! 하지만 맨눈으로 보면 하얗고 부드러운 빛처럼 보이게 됩니다!
Q.  극지방에서는 아주 멀리서도 소리가 잘 들리는 이유?
극지방에선 소리가 훨씬 멀리 전달되게 되는데 이는 차가운 공기의 특징도 같이 생각해보시면 될것같아요! 차가운 공기는 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소리의 전파 속도가 감소하게 되지요. 소리는 매질을 통해 전파되는 압력파인데 극지방은 기온이 매우 낮기에 공기의 밀도가 일반적인 우리 지역의 환경보다 더 높게 됩니다.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면 소리의 에너지 손실이 적어지게 되고 흡수가 감소하면서 소리가 더 멀리까지 퍼질수 있게 됩니다. ㅊㅏ가운 공기는 더 조밀한 매질 역할을 하여 소리가 더효율적으로 전달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것이지요! 또한 극지방에선 지표면이 매우 차갑고, 위쪽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경우가 많기에 온도 역전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을수록 기온은 낮아지게 되지만 극지방의 경우 지표면이 너무 차갑고 위쪽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되면서 소리가 위쪽으로 퍼지다가 따뜻한 공기층에서 반사되며 지표면으로 내려오게 되면서 소리가 공기중에서 멀리까지 전달되는 반사 효과가 나타는것이죠 탱탱볼처럼 팅겨나가는 형태로 보셔도 될것같아요! 또한 극지방은 건조한 환경으로서 수증기의 양이 매우 적고 소리는 수증기에 의해 흡수되는 성질을 가지는데 극지방에선 습도가 낮아 소리의 약화가 ㅈ거어지게 되어 소리가 줄어들지 않고 멀리까지 퍼지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극지방은 평탄한 지역이 많기에 나무나 건물같은 장애물이 없어 소리가 방해ㅈ받지 않고 멀리 나아갈수 있게 되는것입니다!
2812822832842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