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박은 어떤 과정으로 형성이 되나요?
하늘에서 내리는 얼음알갱이인 우박은 어떤 원리로 생겨나나요?
또 우박의 크기도 다양한데 이렇게 우박의 크기가 결정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사이즈가 큰 우박이 생성되는 때는 어떤 경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우박은 일반적으로 비가 눈과는 다르게 강력한 상승기류가 있는 구름에서 만들어지는데 우리는 이러한 구름을 적란운이라고 보통 이야기하지요! 대기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수증기가 높은곳까지 상승하고 상승기류가 강할경우 물방울이 영하의 높은 고도로 올라가게 되고 물방울이 얼면서 작은 얼음 알갱이가 되고 중려에 의해서 내려오려고 하는데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게 되면서 점점 커지게 되는것이지요~ 이 과정에서 얼음 층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그러다가 정말 중력의 힘을 이기지 못할때 떨어지게 되는것이지요! 우박의 크기는 상승기류가 얼마나 강하게 작용하느냐, 구름 내 습도와 빙정이 어떻게 형성되느냐, 대기의 온도부포가 어떻게 나타나느냐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