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혹시 서울 근교에 별을 잘 볼 수 있는 곳은 어디 없나요? 천채 망원경은 일반인은 못 사용하지요? 그럼 육안으로 별이 잘 보이는 곳은요? 궁금해요
별을 잘 보기 위해서는 밝은 조명이 광공해로 피해를 주지 않는 곳을찾아야 하는데요 서울근교에 북한산 국립공원, 남한상성, 양평 두물머리, 포천 국립수목원, 춘천 구봉산 근교에서 보시면 맨눈으로도 별이 매우 잘 보이게 됩니다. 일반인들이 망원경을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천문대를 방문하거나 개인용 망원경을 구매하면 되며 초보자용 망원경은 보통 10~30만원대부터 시작하는것도 있으니 관심이 많으시다면 직접 구매하여 보시는것도 추천드립니다! 육안으로 별을 보기 위해선 빛의 광공해가 적고 맑고 건조한 날씨를 가지며 고도가 높은 장소에서 잘 볼수 있답니다!
Q. 우주쓰레기가 발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주쓰레기가 발생하는 이유는 인공위성, 우주선, 로켓 발사체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되며 로켓의 경우 지구 궤도에 진입하기 위해 여러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단 단계가 분리된 후 우주에 방치되는 경우, 임무를 마친 인공위성과 같은것들이 초기에 만들어졌을때 기술력의 부족으로 한곳에 머무르게 되는 경우, 이러한 우주로 보내진 물체들이 서로 충돌하고 파괴되어 파편들이 모여있게 되는 경우 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우주쓰레기는 운영중인 위성에 충돌할수 있으며, 우주 비행사와 우주선에 안전을 위협하게 하는 것이기에 제거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과 기술적인 해결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기상청에서 어떻게 눈의 양을 예측하나요?
기상청에서 눈의 양을 예측하는 것은 먼저 기초적인 데이터를 지상관측소, 기상레이더, 위성관측, 라디오존데와 같은 관측기구를 활용하여 수집하게 됩니다. 그리고 눈은 강수의 하나이기에 강수 예측이 이루어진 후에 가능성을 평가하게 되는데 구름의 생성과 이동과정을 대기의 상승기류, 저기압의 위치, 전선의 형성등의 분석과정을 거치면서 강수 발생 가능성을 계싼하게 되고 눈이 형성되기 위해서 특정 조건이 필요하기에 온도와 습도 기압과 바람등이 비가아닌 눈이 내릴 가능성에 대해 예측하게 되지용! 이러한 것들을 바탕으로 적설량을 예측하게 되는데 적설량은 강수량을 기반으로 계산하고 (1mm의 강수량이 1cm의 눈으로 환산하게 됨) 이를 기상모델을 활용하여 수치적으로 예측한 값을 예보관이 최종 분석하여 공표하게 되는것이지요. 적설량은 1~3cm 와 같은 범위를 지정하여 발표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