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2월 25일 작성 됨
Q.
왜 겨울이 되면 낮의 길이가 짪아지나요?
겨울이 되면 낮의 길이가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와 공전궤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요~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는 23.5도 기울어진 상태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지구의 계절 변화가 나타나게 됩니다. 태양의 위치는 계절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낮의 길이와 태양의 남중고도에 영향을 미치게 해주지요! 북반구의 겨울엔 지구의 북반구가 태양으로부터 멀리 기울어져 있꼬 태양광이 더 낮은 각도로 북반구에 도달하기에 낮 동안 태양이 하늘에 머무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남중고도가 낮아지게 되어 태양이 뜨고 지는 각도 자체가 낮게 되어 태양의 궤적이 짧아지며 낮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지요! 태양은 하루 동안 동에서 서로 지게 되는데 겨울철엔 태양이 지평선 위로 뜨는 시간이 늦게 되고 지평선 아래로 지는 시간이 빨라지는 것이지요! 태양의 일출 및 일몰 시간이 가까워지게 되면서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2024년 12월 25일 작성 됨
Q.
보이저 1 2호가 태양계 밖을 항해하고 있는데요. 한국도 이런 탐사선을 발사할 계획을 가지고 있나요?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태양계를 벗어나는 탐사선을 발사할 계획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2032년 독자적인 달 착륙석을 갭라하고 이를 달에 착륙하게 하는것을 시작으로 심우주에 대한 탐구도 같이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2029년엔 소행성 을 탐사하는것을 계획하고 있으며 2045년엔 화성에 탐사선을 보내는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2024년 12월 25일 작성 됨
Q.
바다에서 해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해일이란 바다에서 갑작스럽게 큰 파도가 발생하며 육지로 밀려오는 현상으로서 지진으로 인해서 발생하거나 화산에 의해서 발생하거나 산사태 등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지진해일이 이중 가장 흔하며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갑작스럽게 융기하거나 침강하며 바닷물을 급격하게 밀어내고 형성된 에너지가 파도의 형태로 퍼져나가며 해안에 가까워지면서 파도의 높이가 크게 증가하게 되는 현상이지요! 지진해일은 일반적으로 해양판과 대륙판이 만나는 경계에서 자주 발생하게 된답니다! 화산해일은 화산의 폭발이나 화산의 분화로 인해 발생하며 해저 화산이 폭발하면서 바닷물이 크게 밀려 올라가게 되고 해일이 형성되게 되는것이지요! 깊은 바다에서는 파도 높이가 작지만 해안으로 가까워질수록 수심이 얕아지게 되고 파도이ㅡ 높이가 급격하게 증하하며 해일은 바다 깊이에 따라 시속 500~800km까지 매우 빠르게 이동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파도보다 파장이 훨씬ㄱ ㅣㄹ고 육지에 닿을때까지 지속되는 특징을 보여줍니다. 해일에 의해서 해안 지역의 홍수나 구조물이 파괴되거나 생명과 재산상의 피해가 크게 발생하게 되지요!
2024년 12월 25일 작성 됨
Q.
오스트리아 울룰루관련 궁금해서 질문 올리는데요.
오스트레일리아의 Uluru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거대한 암석으로서 지구의 지질학적 역사의 산물이지요~ 울룰루는 아카샤 사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석영과 장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5억 5천만년 전 캄브리아기에 형성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 강과 홍수가 퇴적시킨 퇴적물로 단단히 다져지고 변성작용을 거치며 현재의 형태가 된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 이지역은 강이 흘렀던 평원지대로 강물에 의해 주변 지역의 암석이 침식되어 퇴적물로 쌓이게 되었고 퇴적물들이 시간이 지나며 압축되어 단단한 암석으로 변하게 된것이죠. 그러다 3억년 전 지각운동에 의해 이지역의 암석이 압력을 받아 기울어지고 융기되며 독특한 경사지가 이때 생겨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융기한 암석이 수백만년 동안 풍하ㅗ와 침식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단단한 아카샤 사암이 남고 약한 암석은 사라지게 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된것입니다!
2024년 12월 25일 작성 됨
Q.
남중고도는 어떻게 구할수 있을까요?
남중고도는 관측자가 위치한 위도와 태양 또는 별의 적위를 이용하여 계싼하게 되는데요~h=90-관측자의위도+천체의적위로 구하게 됩니다! 태양의 적위 값은 매일 조금씩 변하므로 정확한 날짜별 데이터를 사용한다면 더 정밀한 계산을 할수 있게 될것입니다!
301
302
303
304
3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