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만약에 우주가 팽창을 멈추고 수축하게 된다면?
우주의 팽창이 멈추고 수축을 이룩하게 되는것을 빅크런치라고 합니다. 빅크런치는 우주의 종말 시나리오중 하나로서 우주가 팽창을 멈추고 중력의지배를 받아 모든 물질이 한점으로 붕괴되는 현상인데요 우주가 수축하려면 현재 우주의 팽창을 주도하는 암흑에너지가 소멸하거나 암흑에너지가 음의 압력에서 양의 압력으로 전환되거나 우주의 밀도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을때 나타나게 됩니다. 수축이 일어나게 되면 팽창하는 우주가 멈추고 은하와 은하단 간의 거리가 점차 줄어들게 되고 중력의 영향으로 물질이 더 밀집하게 되고 거대한 구조들이 붕괴하기 시작하였고 수축이 진해왿면서 우주의 온도와 밀도가 극도로 높아지며 과거 빅뱅 초기에 발생했떤 고온 고밀도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지요. 모든 물질과 에너지가 한 점으로 압축되면서 빛과 물질 간 상호작용이 호라발해지고 광자, 전자, 양성자 등의 기본 입자들이 결합과 재결합을 반복하며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주가 한점으로 수축할수록 시공간이 극도로 왜곡되게 되어 시간이 느려지거나 멈추는 현상이 발생하 가능성이 제기 될것입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우주가 한점으로 붕괴하면서 모든 물질, 에너지, 시공간이 사라지거나 새로운 상태로 전환되게 될수 잇겠지요!
Q. 지구에 날아오는 빛만으로 행성의 거리를 어떻게 측정할수 있나요?
지구에 돋라하는 빛만을 이용해 행성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천문학적 거리 측정법에 의해서 형성되며레이더반사법(전파를 지구에서 특정행성으로 발사한 뒤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며), 연주시차법(지구의 공전 운동을 이용해 가까운 행성이나 별의 위치 변화를 관찰하며 6개월 ㅏㄴ격으로 별이나 행성을 바라보며 위치가 배경 별들에 대해 약간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방법), 빛의 속력과 공전주기를 이용하는 방법, 도플러 효과, 광도거리법, 태양풍 도달 시간 측정 등을 사용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