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Q.  정말 우주의 지구인 뿐이고 외계 생명체는 존재하지 않을까요?
우주에는 약 1천억개의 은하가 있으며 각 은하엔 수십억개의 별이 존재하지요. 이 중 많은 별들이 지구와 비슷한 조건을 갖춘 행성일 간으성이 높다고 합니다. 즉 골디락스존인 생명가능지대인 곳인데 이곳은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수 있는 온도를 유지한다고 하지요~그래서 외계 생명체갖 ㅗㄴ재할 가능성이 있따고 보는것이지요. 현재까지 5000개 이상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으며 일부는 지구와 비슷한 크기와 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잇는 조건을 갖춘곳으로 생각하게 된답니다. 지구상의 생명체는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극한의 온도나 압력에서도 살아남는 미생물 등이 발견되었끼에 다른 행성이나 위성에서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따고 보는 것이지요! 하지만 아지각지 직접적인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생명체는 살수 잇을것을 알기에 외계 생명체 자체를 부정하기도 한답니다!
Q.  북극성은 위치변경이 안이뤄지는 별인가요?
북극성은 사실 이동하지 않은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지구의 자전축이 북극성에 거의 일치하기 때문이며 북극성은 현재 지구 자전축이 향하는 방향에 가까운 위치에 잇어 북쪽 하늘에서 거의 고정된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며 실제로 북극성도 전체로서 우주에서 이동하고 있으며 수천년후에는 다른 별이 북극성 자리에 위치할수 있께 되는것이지요!
Q.  하늘에서 보는 무지개는 왜 동그란가요??
무지개는 대기중의 물방울에서 빛이굴절하고 반사되면서 형성되게 되며 햇빛이 공기중의 물방울에 들어가면서 굴절되며 빛은 서로 다른 색깔로 분리되는데 이현상을 분산이라고 하지요. 빨강, 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색의 스펙트럼이 나타나게 됩니다. 빛이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되면서 대부분의 빛은 물방울 안에서 한 번 반사되지만 일부 빛은 두 번 반사될수도 있게 됩니다. 빛이 물방울을 빠져나올때 다시 한 번 굴절되며 이 과정에서 다시 색이 분리되게 되는것이지요! 물방울 하나하나가 일정한 각도에서 빛을 굴절시키기에 우리가 보는 무지개의 색상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형성하고 햇빛은 특정 각도에서 물방울이 빠져나오게 되면서 무지개의 색은 모두 같은 각도로 배열되는것이지요! 무지개는 지평선 위로 형성되기에 반원모양으로 보이지만 하늘 전체에 무지개가 보인다면 완전한 원 모양이 형성되게 되느것이지요!
Q.  우주에 있는 은하는 어떻게 생긴 걸까요?
우주에 있는 은하는 다양한 형태와 크길르 가지며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나선은하입니다. 나선은하는 중심에 둥근 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주위로 나선 모양의 팔들이 펼쳐져 있는 형태이며 이 팔들에 별, 가스, 먼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은하의 중심에서부터 점차적으로 밖으로 뻗어 나가게 되는것이지요. 나선은하는 원반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별들이 원반의 평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나선 모양은 은하 내의 별들이 중력에 의해 형성된 별의 밀도 파동때문에 생긴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둘째 타원은하입니다. 타원은하는 구형이나 타원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별들이 은하 중심을 중심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무작위로 배치되어있으며 별들의 밀도가 높고 중심에 가까운 부분이 더 빽뺵하게 별들을 가지게 하는것이지요. 타원은하는 대부분 별의 ㅎ여성이 오래된 은하로 별 생성 활동이 거의 종료된 상태입니다. 셋째 불규칙 은하입니다. 불규칙 은하는 나선 은하나 타원 은하처럼 명확한 형태가 없이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 은하는 종종 별 형성 활동이 활발하거나 은하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불규칙적인 구조를 띄게 됩니다. 불규칙은하는 은하 간의 충돌이나 끌어당기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왜곡되거나 원래 형태가 없이 별들이 분포하게 되는것이지요! 전체적으로 은하는 처음엔 거대한 가스 구름에서 형성되며 이 구름은 중력에 의해 수축하며 별들을 형성하고 이 별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은하 구조가 형성되게 되는것이지요!
Q.  우주에는 과연 그 끝이 존재 할까요??
우주의 긑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도 거론되고 있는 그리고 아직까지도 정확하지 않은 현재의 과학계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궁금증 중에 하나 입니다. 20세기 초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여러 과학자들이 발견했꼬 우주는 유한한 크기를 가질순 있지만 끝이 없다고 설명하지요. 우주는 현재도 게속해서 팽창중이며 이러한 팽창은 시공간 자체가 확자오디는 방시긍로 이루어지기에 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보고 있지요. 현재의 우주론에서 우주가 무한하다는 가설도 있으며 우주가 일정한 속도로 팽창하고 있지만 그 팽창이 계속될것이라면 우주는 끝없이 확장될수 있께 되는것이지요. 다른 이론중엔 우주가 구형이거나 닫힌 구조일수도 있따고 보고 있으며 우주가 팽창하지만 결국 다시 한점으로 모여든다는 것이지요. 우주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끝이 있을수도 있으며 이경우엔 끝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끝이 존재한다면 그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답은 아직까지 없습니다. 이외에 요즘은 다중우주 이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는 단지 무수히 많은 우주 중 하나일 뿐이며 각 우주는 독립적인 존재일수 있으며 우주에 끝이 있따고 하더라도 그것은 다른 우주들과의 구별에서 나타날수 있는 개념일수도 있ㅅ브니다!
3913923933943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