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지구의 자전축은 정확히 어느 정도로 기울어져 있나요?
지구의 자전축은 23.5도 기울어져 있으며 지구의 자전축과 공전면 사이의 각도로서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할대 계절변화를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졍 ㅣㅆ습니다. 지구의 북반구와 남반구는 서로 다른 시기에 태양을 향하거나 멀어지게 되며 계절의 변화로 이어지게 되는것이지요! 북반구에서 여름은 태양이 더 높은 각도로 떠서 더 많은 태양 에너지를 받게 되지만 겨울엔 태양의 고도가 낮아져 더 적은 태양 에너지를 받게 되며 자전축의 기울기는 세차운동으로 인해 22.1도에서 24.5도 사이를 움직이게 된답니다!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태양계 가까운쪽과 외곽에서 공전주기가 얼마나 차이나나요
태양계 내에서 행성들의 공전주기는 태양과 얼만큼 멀리 떨어져있느냐에 대한 문제이며 케플러 3법칙에 의해서 이야기하지요~ 행성의 공전주기의 제곱이 태양으로부터의 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으로 태양에 가까운 행성들은 공전주기가 짧고 태양에서 멀리 있는 행성들은 공전주기가 길다는 사실을 알수 있게 된답니다!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태양계 외곽에 있는 천체는 어떻게 확인해나요
태양계 외곽의 천체들은 우주탐사선을 보내거나 천문학적인 관측을 통해 수학적 모델링을 하면 됩니다! 우주탐사선은 태양계를 벗어난 천체들을 탐사하는 중요한수단인데요~ 보이저1호나 2호같이 직접 탐사를 하거나 뉴호라이즌스호와 같은 탐사선을 보내는 것이지요! 광학망원경과 전파 망원경을 사용하여 태양계 외곽의 천체를 관찰하며 특히 외곽 천체는 매우 희미하고 작은 빛을 발하기에 매우 고성능의 망원경을 이용하는데 유명한 허블우주망원경이 그 예이지요~ 이러한것들을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계산하게 되는것입니다!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태양계의 네메시스가설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태양계에 또다른 작은별인 네메시스라는 동반성이 있을수도 있지않을까? 라는 가설로서 1980년대에 천문학자들이 제안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계의 이차적인 항성으로서 태양의 궤도를 따라 매우 긴 타원형 궤도를 도는것으로 상상하며 태양과 매우 가까운거리에서 존재하지 않지만 때때로 태양계의 외부에서 오게 되는 혜성이나 소행성들의 궤도를 바꿀수 있는 중력적 영향을 주는것으로 생각하게 된것이지요~ 하지만 혀재까지 이를 뒷받침할 확실한 관측 증거는 없으며 과학자들이 궤도가 긴 별이나 천체가 있다면 그로 인하여 태양계 외곽에서의 물체들이 영향을 받을수 있다는 이론적인 가능성을 이야기하게 되는 것이지요!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해왕성에는 어떤 소행성천체들이 많고 이들이 지구와 주변에 무슨영향을 주나요
해왕성 주변엔 여러 종류의 소행성 천첸들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으로 트로이군 ㅗㅅ행성과 쿠이퍼대에 있는 소행성들이 대표적이랍니다! 트로이군 소행성은 해왕성의 궤도를 따라 공전하며 해왕성의 L4,5 라그랑지에점에 위치하며 두 천체 사이의 중력으로 안정된 위치로서 소행성들이 해왕성과 같은 속도로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해왕성엔 약 20여개의 트로이군 ㅗㅅ행성이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왕성 너머엔 쿠이퍼대라는 영역이 있는데 여기서 소행성, 왜소행성 세이도이드라는 특이한 천체들이 있으며 쿠이퍼대는 해왕성의 궤도와 비슷한곳에 있어 지구에서 보기엔 이들이 매우 멀리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은 적지만 태양계의 동역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해왕성의 소행성들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주탐사의 발전에 따라 이러한 천체들의 궤도나 물리적인 특성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것입니다!
396
397
398
399
4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