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과거부터 현재까지 소행성은 어떤주기로 지구로 쏟아지나요
소행성이 지구로 떨어지는 주기는 매우 다양하며 예측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많게 되지요. 소행성은 규칙적인 주기보다는 불규칙적으로 지구와 충돌하게 된답니다. 소행성은 각각 고유한 궤도를 가지고 있으며 충돌 주기는 소행성의 궤도 주기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어떤 소행성은 수십년에서 수백년까지 주기를 가지며 어떤 소행성은 몇만년을 주기로 지구 근처를 지나가게 된답니다!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태풍의 진로를 보면 간혹 이상하게 왔다 갔다 하는게 있느데 왜 그런 현상이 발생할까요?
태풍은 주변의 고기압과 저기압 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요 고기압은 태풍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며 저기압은 태풍을 끌어당기는 효과를 낳게 되는것이지요. 태풍이 고기압의 경계를 넘어서면서 진로가 불안정해지거나 변화하게 될수 있으며 고기압과 저기압의 상호작용에 따라 태풍의 이동 방향이 갑자기 바뀌기도 하는것이빈다! 태풍은 바다에서 발생하고 육지에 다가가면서 그 진로가 달라지게 되는데 해안선이나 산지에 다가가게 된다면 태풍은 산지의 고도 차이로 인하여 궤적을 급격히 바꾸기도 합니다! 태풍은 따뜼한 바다에서 강한 에너지를 얻게 되므로 바다의 수온이나 상층 대기의 기류 차이에 따라 진로가 변하기도 하며 태풍이 따뜻한 해수면 위에선 강화되거나 이동 속도가 빨라지게 되지만 차가운 해수면이낙 ㅗ기압 지역에선 진로가 불안정하게 되는것이지요! 태풍은 때로 기류에 의해 갑작스럽게 방향을 틀거나 유도성 흐름에 의해서 진로를 바꾸기도 한답니다! 즉 여러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하기에 태풍의 위치는 지속적으로 변할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지요!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화산이 폭발할 때 용암의 온도는 몇도나 될까요?
화산이 폭발할때 용암은 평균적으로 800~1200도 사이로 온도가 유지되는것으로 알려져 있지요. 산성용암의 경우는 800~1000도, 알칼리성 용암은 1000~1200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알칼리 용암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는데 현무암이 대표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산성용암은 점성이 높고 천천히 흘러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된답니다!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일주운동에 의해 항성은 무엇을 말하는지요?
일주운동에 의해 항성은 자전하는 현상을 이야기하며 항성은 자기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을 의미하게 됩니다. 항성은 일정한 속도로 자전하게 되는데 태양은 약 25일~35일 사이에 한번씩 자전하며 적도에서 약 25일정도 극지방에선 더 길게 움직이게 되지요. 항성이 고체가 아니라 플라즈마 상태의 물지롤 이루어져 있기에 자전속도가 경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답니다! 항성은 우주 공간에서 특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자신만의 자전 운동을 하게 되고 일주 운동은 항성의 물리적인 특성과 관련을 가지게 되고 항성의 내부 물리적 상태나 활동성에 영향을 주게 되는것이지요!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태양은 지구옆에 있는데 왜 여름의 낮은 길고, 겨울엔 해가 짧아 밤이 길까요?
태양은 지구에 매우 가까운 별이며 여름과 겨울의 낮과 밤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은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습니다. 여름엔 북반구가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태양의 고도가 높고 태양이 하늘을 가로지르는 경로를 길게 하지요. 낮시간이 길어지고 밤이 짧아진다는 것입니다! 이시기엔 태양이 더 직선에 가까ㅃ게 빛을 비추기에 하루동안 쌓인 에너지가 많아져 더 더워지게 되며 겨울은 북반구가 태양에서 멀어지게 기울어져 있어 태양이 하늘을 가로지르는 경로가 짧고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기에 낮 시간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401
402
403
404
4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