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에는 눈이 왜 안 오나요?????
화성의 대기는 지구보다 약 100배 정도 더 얇으며 이산화탄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이 기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적다는것이지요. 지구에서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을 만들고 이 구름이 떨어지면서 비나 눈이 되지만 화성의 대기는 이러한 충분한 수증기가 없다는것이지요~또한 화성은 평균적으로 -60도를 나타낼만큼 매우 춥기에 물이 고체상태로 얼어있꺼나 기체 상태로 존재할수 없는 온도입니다! 화성엔 물이 주로 얼음 형태로만 존재한다는 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전파가 우주에서 사라지지 않는다면, 우리가 내보낸 신호는 계속 존재 하나요?
우주에서는 전파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전파는 우주공간을 통해 확산하면서 점점 약해지는데 우주 공간은 매우 넓기에 신호가 특정 방향으로 퍼지면서 에너지를 분산시키게 하지요~ 우주탐사선에서 발신한 신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ㅣㄴ호의 강도가 약해지며 더 먼거리로 갈수록 감지하기 어려워지는 전파의 감쇠를 일으키게 하며 우주에는 다양한 배경 신호가 있는데 우주마이크로파배경복사(우주 초기에 발생한 잔여 에너지로서 우주 전역에 균등하게 퍼져있음)가 그 예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천문학에서 어떻게 도플러 효과가 발견되었나요?
도플러 이팩트는 19세기 중반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인 크리스티안 도플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1842년 논문에서 음파나 빛과 같은 파동이 관측자와 파동 발생원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변화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도플러효과는 소리나 빛처럼 파동을 발생하는 물체와 관측자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머렁질때 발생하는 주파수의 변화를 설명하며 물체가 관측자를 향해 가까워지면 파장이 압축되어 주파수가 ㅈ으가하고 물체가 관측자로부터 멀어지면 파장이 늘어나 주파수가 감소하게 되어 빛같은 경우 색깔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적색편이(물체가 관측자에게 멀어질때 팢아이 길어져 붉은색으로 이동)와 청색편이(물체가 관측자에게 가까워질때 발생하며 짧아지면서 청색으로 이동)라는 개념이 나타나며 훗날 허블이 이를 이용해 우주의 확장을 밝혀내게 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공전주기는 정확하게 365일인가요
지구의 공전주기는 즉 지구가 태양을 한바퀴 도는 시간은 365.242190일로서 약 6시간정도의 시간이 더해져야 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윤년 제도가 있는것이며 일반적으로 4년마다 1일을 추가하는 윤년이 적용되며 평균적인 공전주기를 정확하게 맞춰질수 있게 해주는 것이지요! 하지만 이것도 오차가 발생하기에 100년마다 윤년을 건너뛰고 400년마다 다시 윤년을 추가하게 된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수성이나 금성에는 위성이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는데요~ 수성과 금성은 태양과 매우 가깝기에 태양의 강한 중력에 의해 이들 행성들이 위성을 잡아둘수 있지 않도록 하게 되는것이지요~ 태양의 중력에 끌려가거나 이탈하게 된것이라고 보면 될것같습니다. 태양 가까이 있을수록 원시 태양계에서 물질이 희박해지고 고온으로 인해 가스와 먼지가 흩어져 있었기에 위성이 형성될 기회가 없었떤 것이고 위성이 형성되기 위해서 그 지역에 충분한 물질과 찬 환경이 있어야 하는데 수성과금성은 그렇지 못한것이지요.
4064074084094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