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12월에는 눈이 오늘보다 더 오려나요?
12월엔 눈이 더 많이 올수 있껬지요! 눈이 오려면 기온이 0도 이하로 떨얼지고 대기중에 충분한 숩누이 있어야 하므로 우리나라는 12월 중순부터해서 1월말즈음까지 눈이 많이 오는 지역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경상남도 지역에는 왜 눈이 안 오나요??
경상남도는 한반도의 남쪽에 위치하는데요 겨울철엔 ㅂ구서쪽에서 차가운 바람이 내려오는 방향에서 비교적 먼 곳이지요~ 이는 겨울철에 찬 공기가 경상남도까지 오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뜻한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눈보다는 비나 겨울비가 덤 ㅏㄶ이내리게 됩니다. 해양에 인접하기에 바다에서 불어오는 온난한 바람이 겨울철에 차가운 북풍을 완화시키게 하고 바다에서 불어오는 온난한 기류는 기온을 높게 유지시키게 눈이 내리기위한 기온 조건을 맞추기가 어렵게 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와 그 외부를 구분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명확한 경계가 있나요?
우주와 그 외부를 구분하는 명확한 경계는 현재까지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주의 끝이 어딘지를 정확하게 모르기 때문이지요! 우리는 우주를 관측가능한 영역으로만 먼저 구분을 할수 있는데요~ 이 영역은 약 930억광년정도에 해당하며 9.46조km정도라고 알려져있습니다. 아직까지 우리는 이 관측가능한영역만 살펴보며 그 외의 영역은 명확하게 어디인지를 알수 없으며 이는 우주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의 강수량이 겨울에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겨울철엔 한반도에 북서풍이 주로 불게 되는데 이 차가운 공기는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고 공기가 건조한 상태이므로 비나 눈을 형성할수 없는 상황이 되는것이지요! 겨울철엔 대륙성 고기압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빈다! 또한 겨울철엔 대기의 불안정이 적기에 강수시스템이 잘 발달하지 않게 된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눈은 어느 정도 고도에서 형성되서 내리는 것인가요?
눈은 일반적으로 기온이 0도 이하로 떨어질수 있는 고도에서 형성되는데요~ 평균적으로 2000~4000m정도에서 만들어진다고 알려져있습니다!구름속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있꼬 이 숮으기가 차가운 공기에서 얼어붙어 작은 얼음 결정을 형성하게 되지요! 얼음 결정이 자라면서 눈송이가 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로 성장하고 이 성장은 대기 중의 습도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다양한 모양의 눈송이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눈송이가 구름에서 떨어져 내릴때 그 경로중에 기온이 0도 이하일때 눈이 그대로 내리게 되는것입니다!
4014024034044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