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질문물리가 지구과학,우주와 연관이 될까요?
지구과학에서는 물리가 빠질수 없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물리학이 지구과학에서 여러가지 모두 사용되기 때문이지요. 기상학이나 지질학, 해양학, 천문학 모두 물리학이 절대 빠질수 없으며 여러 열역학 법칙이나 역학등이 물리학을 기본으로 이루어지기에 물리도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다만 물리교육과 지구과학교육은 접근하는 방법이 다르기에 지구과학과 관련된 일을 하시고 싶으시면 물리교육과보다는 지구과학교육과가 더 원활하게 진행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물체를 관측한다면 외계인의 존재를 알지않나요?
현재까지 탐지된 대부분의 우주 물체는 천체들로 자연적으로 발생한 물체들인데 지구에서 발사한 인공위성, 탐사선 등 인류가 만드는 인공 물체들도 존재하게 되며 가까운 미래에 외계 문명의 흔적이나 인공물의 증거를 찾기 위해 탐사가 계속될 예정이지요. 2017년 발견된 천체인 오우무아무아는 외계 문명의 탐사선일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주장이 부족했지요. 만약 외계 생명체가 우리의 물리적 관측 방식과는 다른 차원의 에너지 형태를 사용하게 된다면 우리가 가진 현재의 기술로는 외계인의 존재를 확인하기가 어렵지용! 하지만 지금처럼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계속 이러한 행위를 하게 된다면 언젠가는 외계 문명과 신호를 교환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천문학적인 관측 정보는 일반적으로 모두 다 공개하며 NASA난 ESA, SETI같은 기관은 외계 생명체와 관련된 정보도 주기적으로 공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과학 저널이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서 확인가능하지요. 외계 생명체 발견이 확인되면 사회적인 영향을 고려해 공개 방법에 신중을 기하게 될수도 있지요~ 이러한 정보들은 각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확인 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계절 따라 햇빛이 비추는 양상이 달라지나요.
계절에 따라 햇빛이 비추는 각도와 조사량이 달라지게 되는데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계절에 따라 조사각과 조사량이 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여름엔 태양이 더 높은 각도로 하늘에 떠있으며 햇빛이 지표에 직각에 가깝게 내리쬐게 되고 조사각이 빛을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 집중되게 하여 더 강렬하게 느껴지게 하는것이지요. 반대로 겨울엔 태양이 낮은 각도로 비추면서 햇빛이 더 경사지게 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고 이경우 같은 양으 ㅣ햇빛이 더 넓은 면적에 퍼지게 되어 햇빛의 강도가 약해지게 되는것입니다. 조사량은 햇빛의 각도에 따라 변화하며 여름철에는 하루동안 햇빛이 강하게 지속적으로 비추기에 조사량이 많고 겨울철에는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이 있기에 조사각이 낮고 조사량이 줄어들고 온도와 자연풍경에 영향을 미쳐 같은 장소라도 다른 느낌을 주게 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조수간만의 차는 어떻게 생기는건가요?
조수 간만의 차이는 달이 지구를 끌어당기면서 지구의 바닷물에 영향을 주고 달의 중력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지점에서 바닷물이 달 쪽으로 솟아올라 밀물이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지구의 반대편에서도 관성으로 인해 물이 솟아오르게 되어 하루에 두번 밀물과 두번의 썰물이 발생하게 되며 태양도 지구의 바다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달보다는 영향이 적지만 보름과 그믐에 달과 태양이 같은 방향에 있어 조수간만의 차가 커지게 되는 대조 현상이 나타나며 반달때는 소조현상이 나타나게 되는것이지요~ 서해안은 수심이 얕고 해안선이 복잡하여 여러 섬들이 많게 되어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더 부각되고 얕은 바다에서 수면 높이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해안선이 복잡할수록 물이 밀려오고 빠져나가는 흐름이 강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서해안은 반페쇄성 해역으로서 대륙과 가깝고 바닷물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기에 조수간만의 차가 동해보다 크고 명확하게 나타나게 되는것입니다. 동해는 깊은 수심과 넓은 해역을 가지고 있으며 조수간만의 차가 상대적으로 작게 되며 깊은 바다에서 수면이 크게 오르내리지 않기에 동해안에서 서해안만큼 조수간만의 차가 두드러지지 않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제주도는 왜 강수량이 많은 지역인가요?
제주도는 한라산이 있고 기후에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남서풍, 남돞우이 불면서 주변에 지형적인 강수량이 늘어나게 되며 한라산에 의해 이슬점에 쉽게 도달하여 응결과정을 거치고 비가 내리게 되는것이지요. 태평양에서 오는 습한 공기와 여름철 북태평양 고기압이 제주도에 비를 ㅁ낳이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합니다! 겨울철 제주도는 한반도 서쪽을 통해 차가운 북서풍이 불어오면서, 한반도의 남쪽 해상에 있는 제주도 주변의 따뜻한 해수면과 만나게 됩니다.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바다 위를 지나면서 수증기를 공급받아 제주도에 도달할 때 눈이나 비를 내리게 하는 구름을 형성합니다.
471472473474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