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밤하늘에 떠 있는 별들은 별의 밝기가 모두 다른데요, 별의 밝기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의 밝기는 측광을 통해 알아내는데 밝기를 나타내는 것은 겉보기등급과 절대등급 두가지를 통해 알게 됩니다. 겉보기 등급은 별을 관측하는 지구에서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를 나타내는것이며 등급이 낮을수록 밝고 높을수록 어두운것이지요. 시리우스는 밤하늘에 겉보기 등급이 -1.46으로 가장 밝은 별입니다! 절대등급은 별을 모두 같은 선상에 일렬로 나열을 시키는것인데요 별을 10pc거리에 두었을때 밝게 보이는것을 기준으로 살펴보며 이를 통해 별의 고유 밝기을 알아낼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별이 가까울수록 절대 등급과 겉보기 등급의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별의 밝기는 망원경과 CCD카메라, 광도계와 분광 분석 등을 통해 알아내게 되며 별의 밝기는 거리, 크기, 온도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달에 비해서 지구는 크레이터가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구는 대기가 있고 활발한 지질활동등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두꺼운 대기층을 가지고 있으며 소행성이나 유성이 지구 대기에 진입하면ㅅ ㅓ마찰에 의해 대부분 불타 사라지게 됩니다. 지표에 도달하여 충돌하는 경우도 드물뿐더라 크레이터가 형성되더라도 금방 사라질수 있는 ㅗㅈ건들이 있께 되는것 이지요. 지구는 활발한 지질 활동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으며 판 구조 운동으로 인해 산맥이 형성되거나 침식과 화산활동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크레이터가 형성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지게 되는것입니다! 지구는 물, 바람, 눈 빙하 등의 기후적인 침식작용이 끊임없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것들로 인해 달과 다르게 크레이터가 금방 사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