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노을이 질 시간이 아님에도 하늘이 가끔씩 먹구름이 끼며 노란색, 핑크색등으로 변하는건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노을이 질 시간이 아님에도 하늘이 노란색이나 핑크색으로 변하는것은 대기중의 입자나 구름의 두께와 구성 들 그리고 태양빛의 산란 등에 의해서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지요. 햇빛은 백색광인데 여러개의 색이 혼합되어있습니다. 이 빛이 지구 대기로 들어오게 되면 레일리 산란과 미 산란이라는 현상에 의해서 나타나는데 대기중의 분자와 입자들이 빛을 산란시키며 파장이 잛은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더 ㅏㄶ이 산란되고 긴 빨간색이나 노란색은 덜 산란되게 됩니다. 구름이 많이 끼거나 대기중에 많은 입자나 오염물질이 있으면 산란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구름이 두꺼ㅃ거나 대기중에 작은 먼지, 오염입자 물방울등이 포함되어 있을때 빛이 더 복잡하게 산란되며 하늘 색이 변화되게 되는것이지요. 먹구름이 끼면 보통은 구름이 회색이나 어두운색이 되지만 산란에 의해 노란색이나 핑크색등으로 보이게 될수도 있으며 노란색하늘은 미세먼지나 황사가 심할때 나타나기도 합니다. 핑크색 하늘은 물방울이나 미세 입자가 특정한 ㅏㅇ식으로 빛을 산란할때 구름의 두꼐와 태양빛의 각도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대기가 불안정할 때, 특히 저기압이나 폭풍우 전후에 하늘의 색이 이상하게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구름 속의 수증기 농도, 입자의 크기가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또한 불안정한 대기에서는 빛의 산란이 더 불규칙해지고, 구름이 빛을 통과시키는 방식도 달라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가 우주에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인류의 존재 목적에 대해선 과학적인 관점에서 볼때 여러 진화에 대해서 생각해보아야 하고 이는 빅뱅이후에 지구의 발전과 태양계 내의 행성들의 발전의 과정도 이해해야 할것같네요. 이에 따라 자연의 이치대로 흘러간것으로 볼수 있지만 종교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내용이 또 달라지게 될것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남극에 있는 빙하가 모두 다 녹아 버리면 지구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남극의 빙하가 모두 다 녹으면 지구에 큰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는데 우선은 해수면이 상승하게 될건데 모두 녹으면 60~70M정도 상승할것으로 예상하고 있지요. ㅎㄴ재와 비교해 엄청난 변화를 야기하게 될것이빈다. 이는 전세계 주요 해안 도시들(뉴욕,런던,상하이,도쿄 등)이 모두 다 잠기게 될것을 이야기하며 수억명의 사람들이 이주를 하게 될수 있따고 보게 되는것이지요. 이외에 섬국가들은 아예 소멸하게 될것입니다. 또한 역설적으로 빙하가 녹는 것은 기후 변화 자체를 더욱 가속화 하게 하는데 이는 빙하가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반사하는 알베두ㅗ 효과를 내는데 이들이 아예 사라지게 되는것이기에 그렇습니다. 또한 기후 시스템은 복잡하게 얽혀있는데 빙하가 녹으면서 해류와 대기의 흐름이 변화하여 극단적인 기후ㅕㅎㄴ상이 자주 발생할수 있게 되는것임을 이야기하지요. 또한 생태계가 붕괴되어 해양생태계의 파괴 육상생태계의 변화가 야기되면서 결과적으로 먹이사슬에 의해 우리 인간에게도 영햐을 받게 해준다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만약 어려분들이 외계인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면, 어떤 질문을 하고 싶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외계인과 대화를 나눌 주제는 굉장히 많겠지만 항상 단골적으로 나오는 질문중 하나는 우주에 얼마나 많은 지적생명체를 탐험하셨으며 문명의 역사는 얼마나 오래되었꼬 당신들의 과학기술등이 얼마나 발전해있는지에 대해서 여러가지를 물어보는게 단골질문이지요~ 외계 문명의 역사와 발전 과정을 알게 된다면, 인류 문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외계 문명이 우리보다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그리고 그들이 경험한 도전과 성공을 통해 우리의 미래를 예측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이들은 우리보다 더욱 고도화된 기술로 여러 우주와 관련된 물리학적인 법칙들을 해결했을것이기에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기술들의 전수를 부탁할수도 있껬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가 과거부터 덥고 오염됐다고 하면 사람도 그 환경에 맞춰서 진화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가 과거부터 매우 덥고 오염된 환경이었다면, 현재와는 다른 환경적 요인들이 지속적으로 작용했을 것입니다. 이런 환경에서 생명체는 생존에 유리한 형질을 선택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더운 환경에서 생명체가 생존하려면 체온을 조절할 수 있는 특성들이 선택되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피부 표면적이 넓어 열을 더 잘 방출할 수 있거나, 땀샘이 더 발달한 생명체들이 진화했을 수 있습니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은 열을 방출하는 능력, 즉 발한(땀 흘리기) 등의 방식으로 더운 환경에 적응했을 수 있습니다. 기온이 높아지면 생물의 신체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베르그만 법칙이라 하며, 더 작은 신체는 열을 방출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더운 환경에 살았다면, 인간을 비롯한 생물체의 크기가 작아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지구가 과거부터 오염된 상태였다면, 그 오염된 환경에 맞춰 생명체들이 적응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오염 물질에 더 잘 저항하는 유전자나 생리적 메커니즘을 가진 개체들이 살아남아 번식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인간이나 동물들이 오염된 물이나 공기를 더 잘 정화하거나 해독할 수 있는 신장 기능 또는 간 기능을 진화시켰을 수 있습니다. 대기 오염이 심한 환경에서 산소 농도가 낮다면, 호흡기 구조가 진화하여 더 적은 산소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 사는 동물들은 혈액 내 산소 운반 효율이 더 높은 특성을 지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5165175185195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