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유럽쪽의 바다가 유록 에메랄드빛이 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유럽의 바닷물이 에메랄드 빛 또는 유록색을 띄는것은 수질뿐만 아니라 빛의 반사와 흡수 지리적인 특성이나 해양 생물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인데 바닷물 속에 존재하는 플랑크톤과 같은 해양생물이 큰 영향을 주며 식물성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엽록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엽록소가 햇빛의 특정 파장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을 반사하면ㅅ ㅓ물이 푸루ㅡ스름한 에메랄드 빛을 띄게 되며 영국 남부 해안이나 지중해 처럼 상대적으로 따뜻한 수역에서 더 두드러지게 됩니다. 즉 엽록소 농도가 높은 바다에선 빛의 흡수와 반사가 달라지게 되며 물이 푸르스름한 색을 띄게 되는것이지요. 또한 바닥의 지형이나 물의 깊이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며 지중해나 유럽의 연안 바단 일반적으로 얕기에 바닥이 밝은 ㅐㅅㄱ의 모래나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들이 햇빛에 반사되면서 그러한 색이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서해는 거의 대다수가 갯벌로 구성되고 진흙으로 덮여있끼에 탁한 ㅐㅅㄱ을 나타내게 되는것입니다. 동해 또한 너무 깊기에 빛이 반사되지 않아 색을 볼수 없게 되는것이지요. 바다의 색은 햇빛이 물 속에서 어떻게 산란하고 흡수되느냐에 따라 결정되고 다양한 파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햇빛에 의해 바닷물은 짧은 파장의 푸른빛을 산라시켜 녹색이네ㅏ 에매랄드 색으로 나타나는 것이지요~ 날씨와 기후도 바다 색에 영향을 미칩니다. 맑은 날,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지역에서는 바닷물이 더 밝고 청록색 또는 에메랄드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지중해와 같은 지역은 맑은 날씨가 많아 물의 색이 더욱 밝고 아름답게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의 바다는 대체로 흐리거나 구름이 많을 때 물이 더 어두운 파란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인류가 우주탐사를 멈췄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탐사는 처음에는 미국과 소련의 냉전시기에 정치적인 경쟁을 시작으로 경쟁적인 탐사가 이루어졌었지요~ 이 시기는 주로 1960~70년대였으며 미국이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점점 더 우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이후 미국과 서련의 정치적인 긴장감이 완화되기 시작하며 동기가 점점 약해지게 된것이죠~ 무엇보다 우주 탐사 자체는 엄청난 비용이 들기에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을 주게 되었꼬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실제로 나오게 되는 아웃풋이 너무 적게 된것이죠. 그렇기에 그 예산을 점점 다른곳으로 우선적으로 부여하게 된것입니다. 또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지만 장거리 탐사 자체는 굉장히 어려워졌기에 더 많은 비용이 들었어야 했고 이러한것들을 모두 다 이겨 나가기엔 너무나 힘들었던것이죠.전통적으로 국가에서 이루어졌던 이런 활동을 민간기업인 스페이스X나 블루오리진이라는 회사가 나타나게 되었꼬 이들이 재사용 가능한 로켓을 이용하여 우주 탐사 비용을 크게 줄여 우주 개발의 경제적인 타당성을 높이게 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지구의 한정적인 자원이나 여러 과학적인 연구들 등을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들을 특히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비용과 자원을 나누는 형식으로 진행되다보니 비용도 현실적으로 많이 줄어든게 된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산소가 존재하는 행성은 지구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산소가 존재하는 행성은 지구 하나뿐이라고 알려져있지요~ 어디까지나 현재까지입니다! 산소가 풍부한 행성은 지구밖에 없다고 알려져 있으며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행성을 외계 행성탐사가 지금도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습니ㅏㄷ~ 우주에서 산소가 부족한 이유는 대부분의 행성들이 우리가 숨을 쉴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의 산소를 생성하거나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산소는 매우 반응성이 강한 원소이기 때문에, 대기 중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빠르게 다른 화합물들과 결합하여 없어지게 됩니다. 이는 산소가 생명체가 없거나 광합성 같은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쉽게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해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 한국의 일부 과학자들도 안전하다고 하던데 그 근거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오염수중 가장 큰 문제는 트리튬(삼중수소)인데 수소의 방사성 동위원소로서 물에 쉽게 결합하여 다른 물질과 구별하기 어려운 물질이죠~ 일본정부와 일부 과학자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방사선을 가지기에 인체에 미치는 해로움이 적다고 주장하고 있으며체내에서 빠르게 배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축적되지 않다고 이야기하며 방류하는것이죠. 또한 이를 방류하기전 다핵종 제거설비를 사용하여 트리튬을 제외한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했따고 밝혔는데 이를 통해 스트론튬-90, 세슘-137과 같은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였따고 합니다. 이를 통해 희석효과를 강조하며 방류하게 되었지만 하지만 안전에 대해서 여러가지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과학자들은 트리튬 외에도 ALPS 시스템으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방사성 물질이 있을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또한 무엇보다 과학적 검증과 별개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은 여전히 큽니다.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오염수가 방류된다는 것만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과학적 안전성 주장과 별개의 문제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헬리곱터를 운행 했을때 앞으로 가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에선 헬리콥터가 정상적으로 앞으로 이동하지 못할겁니다. 헬리코터는 날개가 빠르게 회전하면서 공기를 밀어내고 반작용으로 떠오르고 이동하게 되는데 공기를 이용하여 떠오르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기에 로터가 회전하면 아래로 공기가 밀려나면서 양력이 발생할수 있께 되는것이지요. 하지만 공기가 없기에 헬리콥터가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가 없기에 아무리 빠르게 회전해도 떠오를수 없게 되겠지요~ 그래서 우주를 갈때는 로켓엔진을 이용하여 연료를 소비하여 반작용에 의해서 앞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5115125135145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