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규군1211
규군1211

인류가 우주탐사를 멈췄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1960~1970년대 양대강국이었던 미국과 소련은 서로 경쟁이 붙어

우주탐사를 했었잖아요.

그러다가 인류 최초로 달을 갔다오기도 하구요.

근데 그러고나서 40~50년동안 기술이 더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주를 가지는 않았잖아요.

최근 스페이스X에나 아마존같은 사기업에서 우주개발을 하려고 하고 있고

다시 열기가 생기고 있습니다.

한동안 우주개발이 멈춰졌던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우주탐사는 처음에는 미국과 소련의 냉전시기에 정치적인 경쟁을 시작으로 경쟁적인 탐사가 이루어졌었지요~ 이 시기는 주로 1960~70년대였으며 미국이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점점 더 우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이후 미국과 서련의 정치적인 긴장감이 완화되기 시작하며 동기가 점점 약해지게 된것이죠~ 무엇보다 우주 탐사 자체는 엄청난 비용이 들기에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을 주게 되었꼬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실제로 나오게 되는 아웃풋이 너무 적게 된것이죠. 그렇기에 그 예산을 점점 다른곳으로 우선적으로 부여하게 된것입니다. 또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였지만 장거리 탐사 자체는 굉장히 어려워졌기에 더 많은 비용이 들었어야 했고 이러한것들을 모두 다 이겨 나가기엔 너무나 힘들었던것이죠.전통적으로 국가에서 이루어졌던 이런 활동을 민간기업인 스페이스X나 블루오리진이라는 회사가 나타나게 되었꼬 이들이 재사용 가능한 로켓을 이용하여 우주 탐사 비용을 크게 줄여 우주 개발의 경제적인 타당성을 높이게 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지구의 한정적인 자원이나 여러 과학적인 연구들 등을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들을 특히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비용과 자원을 나누는 형식으로 진행되다보니 비용도 현실적으로 많이 줄어든게 된것이지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