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공간에서는 물을 컵에 담을 수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공간은 무중력상태로서 지구에서처럼 물을 컵에 담기가 힘들지요~ 물이 컵 바닥에 고여 있을수 있는 힘이 없기에 사라지게 되는것인데 무중력상태에서는 물과 같은 액체가 표면 장력에 의해 다른 물체에 붙거나 공 모양으로 뭉쳐지게 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환경에선 액체 방울이 구형을 이루면서 떠다니게 되는것이죠. 우주 공간에서는 자주 볼수있는 현사으로 액체는 아래로 흐르지 않고 표면 장력에 의해 물방울 형태로 뭉쳐서 둥글게 나타나게 됩니다. 지구에서는 중력이 물을 컵 바닥으로 끌어당겨 그 안에 담겨지지만 우주에서는 중력이 매우 약하게 되므로 나타나는 현상이지요. 따라서 우주에선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여 액체를 다뤄야 합니다. 밀폐된 용기를 사용하여야 하겠지요~ 액체가 우주에서 컵에 담기게 하려면, 인공 중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공 중력은 회전하는 우주선이나 다른 물리적 방법을 통해 가속도를 발생시켜 인위적인 중력 효과를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이런 인공 중력이 존재한다면, 물이 지구에서처럼 컵 안에 담길 수 있을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대기에는 왜 유독 질소가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 대기의 주요 성분이 질소인 것은 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유로 인하여 그렇지요~ 지질학적, 생화학적 과정에 역할을 크게 하고 있는 질소는 지구 형성 초창기 화산활동이 활발하였으며 이때 ㅁ낳은양의 가스가 방출되게 되는데 이산화탄소나 메탄 수소 등의 다양한 기체들중 하나로서 질소는 원래 내부에서 발생한 휘발성 물질이었꼬 화산 활동을 통해 지구 표면과 대기로 방출되었지요. 질소는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낮고 안정한 기체이기에 다른 기체들처럼 쉽게 화학 반응을 일으키거나 지구에서 사라지지 않았고 (수소같은경우는 매우 가벼워 우주로 나가버리는 등) 이에 지금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것이지요., 질소분자의 경우 매우 강한 삼중결합을 가지기에 매우 안정적이어서 쉽게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게 되고 홯가적인 안정성으로 인해 대기중의 질소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되는 것입니다. 다른 기체들이 다양하게 지구 화학적인 과정에서 제거되더라도 질소는 남을수 있는 이유인것이지요~ 지구에서는 질소를 생태계에서 재활용하는 질소 순환을 하게 하고 대기중의 질소는 박테리아에 의해 고정되고 암모니아로 변환되고 이로 인해 식물과 동물이 질소를 활용하게 되고 죽은 생물이 분해되는 과정을 통해 질소가 대기로 반환되는 과정을 거치게 하는것이지요. 질소는 생명체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형태로는 대기에서 생물학적 활동에 직접 참여하지 않기에 대기중에 계속 높은 농도로 남게 되는 것이지요. 지구의 중력은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기체들을 대기중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질소 분자는 수소나 헬륨과 같은 가벼운 기체보다 무거워 우주로 빠져나가는 일이 적게 되는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얼마전 슈퍼문이라고 달이 엄청 크게 보인다고 하는데, 뜬금없이 갑자기 달이 크게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슈퍼문은 달이 지구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시기로서 평소보다 크게 보이지요~ 달의 궤도와 관련이 있으며 달이 지구에 가까워질때 발생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왜냐하면 달ㅇㄴ 타원형 궤도로 공전하고 있끼에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고 가까워질때도 있고 멀어질때도 있습니다. 가까울때는 356,500km정도 가깝짐나 멀리 있을땐 406,700km정도 떨어지기에 그 크기 차이를 발생하게 하는것이지요~ 근지점에 위치한 보름달의 모습이 슈퍼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