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의 얼음 속이 생명체를 위한 환경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화성의 얼음속이 생명체가 살수 있는 환경이라는것은 믿어 의심치 않고 있는데 이는 화성에서 얼음층과 지하의 물이 발견되었꼬 이에 따라 생명체가 존재할수 있다고 보느 ㄴ것이지요~화성의 극지방과 중위도 지역에서 두꺼운 물 얼음층이 발견되었꼬 이를 유럽우주국의 MARSIS레이더 탐사르 ㄹ통해 발견하여 화성 남극 아래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가능성을 가지게 하였습니다. 생명체는 물을 필요로하며 지하 얼음 속의 액체 물은 미생물 수준의 생명체가 생존할수 있게 될것입니다. 화성 표면은 방사선과 극한으 ㅣ온도 변화로 인해 생명체가 살기 힘들지만 지하 깊은곳은 ㄱ렇지 않을수도 있따는것이지요. 방사선으로부터 보호될수 있따는것을 의미합니다. 광합성을 하는 생명체가 존재하려면 빛이 있어야하지만 화성의 지하 얼음층아래에선 빛이 거의 도달하지 않기에 광합성 기반 생명체가 살 가능성은 매우 낮게 되겠지요. 하지만 지구 심해에도 열수구나 동굴에서 화합적인 합성으로 생명체가 살고 있는것을 발견했끼에 화학적인 반응으로 화성에 생명체가 살수 있다고 생각하고 연구하고 있는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올겨울은 작년겨울과 비교시 어떤 기후를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올해는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엘니뇨는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기후 현상으로, 이는 전 세계적으로 날씨에 영향을 미칩니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겨울 기온이 평년보다 따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기온이 크게 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엘니뇨가 있다고 해서 항상 겨울이 온화한 것은 아닙니다. 북극의 찬 공기가 한반도로 내려오는 북극 진동이나 시베리아 고기압이 강해지면 한파가 올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기후 변화로 인해 이상기후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갑작스러운 한파나 극단적인 날씨 변동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작년 겨울은 비교적 온화한 기온을 보인 경우가 많았으나, 지역에 따라 강력한 한파가 간헐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는 기상청의 예측에 따르면, 12월부터 2월까지는 대체로 기온이 평년보다 약간 높을 가능성이 있지만, 일부 시기에는 한파가 더 자주 찾아올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이 갑자기 사라진다면 지구는 어떻게될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만약 태양이 갑자기 사라진다면, 지구와 태양계 전체는 매우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됩니다. 태양은 지구와 태양계의 중심에 있는 항성으로, 중력, 에너지, 빛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태양은 강력한 중력으로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의 행성들을 궤도에 유지시킵니다. 만약 태양이 갑자기 사라진다면, 태양의 중력이 사라지면서 지구는 궤도를 잃고 직선 운동을 하게 됩니다. 즉,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것이 멈추고, 우주 공간으로 똑바로 나아가게 됩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 변화는 빛의 속도로 전달되므로, 지구는 태양이 사라진 후 약 8분 20초 후에 그 중력 상실을 느끼게 됩니다. 이 시간은 태양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시간과 같습니다. 태양이 사라지면 지구는 태양에서 오는 빛과 열을 즉시 잃게 됩니다. 지구는 매우 빠르게 어두워지고, 온도가 급격히 하락할 것입니다. 태양이 사라지면 지구는 즉시 암흑에 휩싸입니다. 밤하늘처럼 우주에서 빛을 받을 수 있는 다른 항성이 없기 때문에, 인류는 완전한 어둠 속에서 생활하게 됩니다. 태양에서 오는 에너지가 없어지면, 지구 표면의 온도는 매우 빠르게 하강할 것입니다. 약 1주일 후 지구 표면의 온도는 영하로 떨어지기 시작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지구는 얼음 행성처럼 될 것입니다. 최종적으로는 영하 200도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태양은 지구에서 모든 생명체의 에너지원 역할을 합니다. 태양광 없이 광합성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식물부터 시작해 생태계의 기본 구조가 붕괴하게 됩니다. 동물과 인간도 직접적으로 태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태양이 사라진다면 대부분의 생명체가 살아남기 힘들 것입니다. 태양이 없어져도 지구의 지열(지구 내부의 열)은 여전히 유지되므로, 지구 표면이 매우 추워진 후에도 지구 내부의 에너지는 어느 정도 유지될 것입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표면 아래 깊은 곳에서 일부 생명체가 잠시 동안 생존할 수 있을 가능성도 있지만, 결국 지구는 극한의 환경으로 변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갑자기 겨울처럼 추워져 버린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가을철에는 대기 순환이 활발해지면서 한반도 지역에 찬 공기가 갑작스럽게 유입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위도에서 차가운 공기가 시베리아 고기압과 같은 고기압대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차가운 공기가 한반도로 유입됩니다. 이런 현상은 대기 흐름의 변화에 따라 갑작스러운 기온 하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최근 기압골이나 저기압이 빠르게 이동하면서 따뜻했던 공기가 물러나고, 그 자리에 차가운 공기가 자리잡게 되면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가을철에 자주 발생하며,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큰 계절적 특성과 맞물려 기온 하강이 더 두드러지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제트기류는 고도 약 9~12km에서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강한 바람입니다. 이 기류가 북쪽의 찬 공기와 남쪽의 따뜻한 공기를 나누는 역할을 하는데, 제트기류의 경로가 변하면 갑작스러운 찬 공기 유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로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오며 기온이 급격하게 낮아집니다. 가을은 원래 일교차가 큰 계절이기 때문에 기온이 불안정하게 변할 수 있습니다. 낮 동안에는 비교적 따뜻하다가도 밤이 되면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계절의 변환기인 가을에는 한파가 일시적으로 나타날 가능성도 높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성 땅속 깊은 물이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화성의 지하에 다량의 물이 있따는 증거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가 있는데 화성의 땅속 깊은곳에는 얼음 형태의 물과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18년 유럽우주국(ESA)의 Mars Express 탐사선에 장착된 MARSIS 레이더 장비가 화성의 남극 아래에서 액체 물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 레이더는 남극에 있는 약 1.5km 아래에서 물 호수로 보이는 강한 반사 신호를 탐지했으며, 이는 화성 지하에 액체 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로 해석되었습니다. 화성의 극지방이나 중위도 지역에서 두꺼운 물 얼음 퇴적층이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NASA의 SHARAD 레이더 장비를 통해 화성의 북극 및 남극에 거대한 얼음층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는 화성 지하에 잠재적인 물 저장고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NASA의 큐리오시티(Curiosity) 탐사선과 MAVEN 탐사선을 통한 분석 결과, 화성의 표면 아래에서 수소의 흔적이 다량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지하에 물 분자(H₂O)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수소가 물의 주요 구성 성분이기 때문에, 화성 지하에 얼음 형태 또는 묻혀 있는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됩니다.
5115125135145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