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상에서 풍선을 올려보내면 어디까지 올라갈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상에서 풍선을 올려보낸다면 대기권 내의 일정 고도까진 올라가겠지만 그 이상 올라가면 터지거나 공기가 빠지게 될것입니다. 풍선이 올라갈수 있는 고도와 그 이후에 일어나는 현상은 풍선에 들어있는 기체와 대기 압력에 따라 달라지게 될것입니다. 풍선이 올라갈수 있는 고도는 대기의 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지표면에서 대기압이 가장 높고, 고도가 올라갈수록 대기압은 점점 낮아지게 되지요~ 풍선이 올라가면서 바깥의 대기압이 낮아지게 되면 풍선 내부의 기체는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려고 팽창하게 되고 풍선이 내부 기체의 압력을 견딜수 없게 되면 결국 터지게 됩니다. 보통의 경우 10~15km정도까지 올라가면 대기압이 매우 낮아져 풍선이 터지게 됩니다. 이는 대류권 상층부로서 상용 항공기가 비행하는 고도와 비슷하지요~ 헬륨이나 수소 같은 가벼운 기체를 채운 기상 관측용 풍선은 더 높은 고도까지 올라가며 30~40km까지 올라가게 되며 성층권까지도 올라갈수 있습니다. 풍선이 올라갈수 있는 최대 고도에 도달하면 그곳에선 영구적으로 떠있는 상태가 되는것이 매우 어렵게 되고 대기압이 계쏙 낮아지면 풍선 내부의 기체가 계속 팽창하기에 특정 고도에 도달하면 풍선이 터지거나 기체가 빠지면서 서서히 하강하게 되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이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블랙홀이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극도로 강력한 중력 때문입니다. 블랙홀은 매우 큰 질량이 극도로 작은 공간에 압축된 상태로, 이로 인해 엄청난 중력이 발생합니다. 그 결과, 블랙홀 근처에 있는 물체는 그 강력한 중력에서 벗어날 수 없고, 심지어 빛조차 탈출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중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모든 물체는 질량이 있으면 중력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질량이 클수록 중력도 강해집니다. 그러나 중력의 세기는 물체의 질량뿐만 아니라, 질량이 모여 있는 공간의 크기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질량이 작은 공간에 압축될수록 중력은 훨씬 더 강력해집니다. 블랙홀은 주로 매우 큰 별이 자신의 수명을 다했을 때 형성됩니다. 거대한 별은 연료를 다 태운 후 내부에서의 압력이 부족해지면서 자기 자신의 중력에 의해 붕괴합니다. 이 붕괴는 별의 중심부를 매우 작은 크기로 압축시키며, 그 결과 중력이 무한히 강해지는 블랙홀이 형성됩니다. 블랙홀은 주변을 강력하게 끌어당기지만, 실제로 물질이 들어가는 경계는 사건의 지평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건의 지평선 안쪽에서는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을 정도로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그 안쪽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측할 수 없습니다. 사건의 지평선 안으로 들어간 물체는 더 이상 블랙홀의 중력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결국 중심부로 빨려 들어가게 됩니다. 블랙홀의 중력이 강력한 이유는 질량의 밀집입니다. 동일한 질량이라도 공간이 작아질수록 중력의 세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집니다. 블랙홀은 그 질량이 극도로 작은 공간에 모여 있어, 그 주위에서는 다른 모든 물체가 끌려 들어가게 됩니다. 물리적으로 블랙홀의 중력은 상대성 이론에 의해 설명되는데,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은 물질이 공간을 휘게 만들며, 블랙홀의 경우 이 휘어진 공간이 극단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블랙홀의 중심부에는 특이점이라 불리는 지점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질량이 무한히 작은 공간에 압축되어 있다고 가정되며, 중력이 무한대로 강해집니다. 특이점의 물리적 상태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고, 현재의 물리학 법칙으로도 정확히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국제우주정거장은 어떻게 관측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국제우주정거장은 지구궤도를 돌고 있는 가장 큰 인공 구조물이지요~ 지구에서보면 밝은 점처럼 보이며 빠르게 이동합니다.밝은 점처럼 보입니다. 태양의 빛을 반사하기때문에 매우 밝게 보이며 비행기처럼 깜빡이지 않고 일정하게 빛나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매우 빠른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고 있으며 5~10분간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입니다. 지구궤도를 90분에 한번씩 돌기 때문이지요~ 유명한 천체 관측 웹사이트로, 자신의 위치를 입력하면 국제우주정거장이 언제, 어느 방향에서 보일지 알려줍니다. 또한, 정확한 시간과 고도 정보를 제공해 쉽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는 Heavens Above입니다~ 또한 NASA에서도 확인가능하빈다~ 당연히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사용하면 더 자세하게 관측가능하지요~ 맑은날씨이거나 빛공해가 없거나 높은 위치에서 더 잘보이게 될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하늘의 별자리를 처음으로 발견하고 이름을 붙인 사람은 누구 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별자리를 처음으로 발견하고 이름을 붙인 사람은 특정 개인보다는 여러 문명의 사람들이 한것으로 보여집니다. 고대 바빌로니아는 별자리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초기 문명 중 하나이며 기원전 1000년경 바빌로니아 사람드링 하늘을 관찰하며 별자리를 기록하고, 별자리들을 토대로 농사, 종교, 천문학적인 연구에 활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들이ㅡ 벼 ㄹ자리 체계는 나중에 그리스인들에게 전해졌으며 우리가 오늘날 사용하는 별자리 체계의 많은 부분은 고대 그리스에서 기원하고 있습니다. 고대 중국에서도 별자리 체계가 독자적으로 ㅂ라전하였고 중국 천문학자들은 서양과는 다른 방식으로 별자리를 분류하고 이름을 붙였으며 오늘날에는 국제천문연맹엥서 1922년 표준화하여 88개의 공식별자리를 확정하게 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밤하늘의 별은 어느것을 표현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밤하늘에 보이는 대부분의 벼 ㄹ은 항성입니다. 항성은 태양처럼 스스로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에너지를 생성하고 그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천체입니다. 항성들은 대부분 매우 멀리 떨어져있끼에 작은 빛의 점으로 보이게 됩니다. 태양도 행성의 일종이지만, 지구와 가까워서 태양만큼 크게 보이는것이며 다른 항성들은 너무 멀리 있기에 점처럼 보이는것입니다. 행성은 밤하늘에서 보지만 별과는 구분되며 운석(지구에 떨어진 천체 조각)이나 유성(대기권에서 타는 천체)은 별과는 다른 현상입니다. 유성은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밝은 선처럼 보이며, 이는 지구 대기권에 진입한 작은 먼지나 돌덩어리가 대기와의 마찰로 인해 타오르는 모습입니다.
5115125135145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