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유럽쪽의 바다가 유록 에메랄드빛이 나는 이유가 있나요?

우리나라의 서해 남해 동해 모두 바닷물이 맑으면 파란색만 나지만 유럽쪽의 바다는 수질이 좋으면 에메랄드빛이 나잖아요? 똑같은 바다인데 우리나라 쪽의 바다와 유럽쪽의 바다는 무슨 차이가 있어서 이렇게 색깔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인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유럽의 바닷물이 에메랄드 빛 또는 유록색을 띄는것은 수질뿐만 아니라 빛의 반사와 흡수 지리적인 특성이나 해양 생물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인데 바닷물 속에 존재하는 플랑크톤과 같은 해양생물이 큰 영향을 주며 식물성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엽록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엽록소가 햇빛의 특정 파장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을 반사하면ㅅ ㅓ물이 푸루ㅡ스름한 에메랄드 빛을 띄게 되며 영국 남부 해안이나 지중해 처럼 상대적으로 따뜻한 수역에서 더 두드러지게 됩니다. 즉 엽록소 농도가 높은 바다에선 빛의 흡수와 반사가 달라지게 되며 물이 푸르스름한 색을 띄게 되는것이지요. 또한 바닥의 지형이나 물의 깊이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며 지중해나 유럽의 연안 바단 일반적으로 얕기에 바닥이 밝은 ㅐㅅㄱ의 모래나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들이 햇빛에 반사되면서 그러한 색이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서해는 거의 대다수가 갯벌로 구성되고 진흙으로 덮여있끼에 탁한 ㅐㅅㄱ을 나타내게 되는것입니다. 동해 또한 너무 깊기에 빛이 반사되지 않아 색을 볼수 없게 되는것이지요. 바다의 색은 햇빛이 물 속에서 어떻게 산란하고 흡수되느냐에 따라 결정되고 다양한 파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햇빛에 의해 바닷물은 짧은 파장의 푸른빛을 산라시켜 녹색이네ㅏ 에매랄드 색으로 나타나는 것이지요~ 날씨와 기후도 바다 색에 영향을 미칩니다. 맑은 날,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지역에서는 바닷물이 더 밝고 청록색 또는 에메랄드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지중해와 같은 지역은 맑은 날씨가 많아 물의 색이 더욱 밝고 아름답게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의 바다는 대체로 흐리거나 구름이 많을 때 물이 더 어두운 파란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