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별자리는 최초 어떻게 만들어지게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별자리는 고대인들이 하늘을 바라보며 신화적인 내용들이나 물체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고대 문명 사람들은 밤하늘을 관찰하며 별들의 위치와 패턴을 기록했따고 합니다. 농업, 항해, 사냥 등 일상적인 활동에 하늘의 변화를 활용하였꼬 계절의 변화를 인지하기 위해서 주요한 목적을 두었지요. 이는 농경사회에서 중요하였기 때문입니다. 또한 신화나 종교적인 관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였는데 밤하늘을 보고 신성한 상징이나 신화적인 인물을 빗대어서 이야기를 하였으며(대표적으로 그리스 로마신화) 여러 항해의 주요한 지표가 되기도 하였지요~ 이러한 별자리는 1922년 국제천문연맹에서 88개의 별자리를 공식저긍로 확립하며 지금과 같은 별자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나라의 우주산업은 세계 몇위정도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선진국과 비교하면 중간정도라고 보고 있따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누리호를 토대로 세계에서 7번째 발사체 기술을 가지게 된 국가가 되었는데요~ 이외에도 한국은 실용적인 인공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기도 하였꼬 아리랑 시리즈랄지 다른 여러 상업 및 군사목적의 위성들을 다수 가지고 있습니다.또한 정부주도하에 여러 민간기업들(한화에어로스페이스, IG넥스원 등)의 기업들도 참여를 하고 있지요~ 세계 우주 산업 선두 국가들은 미국이나 러시아, 중국, 유럽우주국, 인도, 일본등이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에 들어오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