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여행이 가능하다면 가고 싶은 행성은 어디인가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화성이 정말 흥미로울것 같아요~ 화성은 지구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고, 대기와 지질 구조가 지구와 가장 비슷한 행성 중 하나로, 인간이 탐사하고 정착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입니다. 다양한 로버와 탐사선들이 화성에서 이미 많은 데이터를 수집해 왔고, 이를 통해 미래의 우주여행과 화성 정착 계획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화성에서 과거의 물이 흐른 흔적이나 얼음이 존재하는 지역이 발견되면서, 생명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직접 그곳을 탐험하면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고, 지구 밖의 생명을 발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면 큰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화성에는 올림푸스 몬스(Olympus Mons)라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과 발레 마리네리스(Valles Marineris)라는 거대한 협곡이 있습니다. 이런 경이로운 지형을 직접 보고 경험하는 것은 우주여행의 매력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만약 우주여행이 가능해진다면, 가장 먼저 어느 행성이나 별로 여행하고 싶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만약 제가 우주여행을 할 수 있다면, 저는 토성을 가장 먼저 방문하고 싶습니다. 그 이유는 토성의 아름다운 고리 때문입니다. 토성의 고리는 얼음과 암석 입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거대한 규모와 복잡한 구조가 정말 신비롭고 장엄한 풍경을 자아내죠. 지구에서 관측할 때도 충분히 매력적이지만, 가까이에서 직접 보면 얼마나 경이로울지 상상만으로도 마음이 설렙니다.또한, 토성의 위성들, 특히 엔셀라두스와 타이탄도 매우 흥미로운 탐사 대상입니다. 타이탄은 두꺼운 대기와 지구와 비슷한 액체 메탄 바다가 있어서 생명체 가능성에 대한 탐구가 이뤄지고 있고, 엔셀라두스는 얼음 아래에 거대한 바다가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죠.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 밖의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밝혀진다면 당신이 그들과 대화하고 싶은 주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당신들이 지구의 과학 기술과 비교해 어떤 발전을 이루었는지, 그리고 어떤 원리로 우주를 이해하고 있는지 매우 궁금할 것 같습니다. 특히 우주 여행이나 에너지 활용 기술에서 우리보다 앞서 있다면, 그들의 방식과 원리를 배워보고 싶습니다.나 우리보다 우주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에 우주와 시간, 그리고 우주 다른 생명체들에 대해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을 배우고 싶습니다. 그들이 알고 있는 다른 문명이나 우주의 기원에 대한 관점이 무엇인지 매우 흥미로울 것 같아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왜 우주에서는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주에선 소리가 전달되기 위해서 필요한 매질이 없기 때문이지요~ 소리는 진동이 공기나 물과 같은 매질을 통해 전파되는 현상으로 우주 공간은 거의 완전한 진공상태에 가깝기에 소리를 전달할수 있는 매질이 부족하여 소리가 전파될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소리는 물리적으로 물체가 진동하면서 발생하며, 이 진동이 주변의 입자들(공기 분자나 물 분자 등)을 진동시키면서 전달되는데 매질의 입자들이 서로 밀고 당기며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이지요~ 하지만 진공상태에선 이러한 입자들이 없기에 전파될수 없게 되는것입니다! 우주는 매우 넓고, 그 대부분은 진공에 가깝습니다. 지구의 대기권과 달리, 우주 공간에는 공기나 다른 물질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며 진동을 전달할 수 없습니다. 우주에서 통신은 전파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전파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매질이 없어도 진공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라디오 신호나 텔레비전 신호처럼, 전파는 진공에서도 자유롭게 전파되므로 우주 통신에 널리 사용됩니다. 우주에서도 매질이 존재하는 경우, 즉 공기나 가스 또는 액체가 있는 곳에서는 소리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쌍성을 갖고 있는 항성계에선 행성들의 궤도나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쌍성계는 두개의 별이 서로를 공전하는 시스템이기에 행성들의 궤도는 매우 독특한 형태를 띄거나 복잡하게 됩니다.행성이 두 별 중 한별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다른 별은 행성 궤도 박에서 ㅓㄹ리 떨어져있는 경우를 S형궤도라고 하는데 이는 행성이 마치 단일 항성계처럼 느껴지며 행성이 공전하는 별이 주로 행성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 입니다~ 행성의 궤도에 미세한 영향을 줄수 있으며 중력의 섭동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행성의 궤도 이심률을 변화시키게 합니다~ 행성이 쌍성을 공통 중심으로 공전하는 p형 궤도도 있는데 두별이 서로를 공전하고 그 주위를 행성이 함꼐 공전하는 궤도로서 두별을 함꼐 공전하여 이중항성 주위 궤도라고도 불리우며 행성의 궤도가 안정적으로 보이긴 하지만 중력 균형의 상태에 따라 궤도가 찌그러지거나 복잡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쌍성계에선 행성의 궤도 자체가 중력의 상호작용으로 불안정해질수 ㅣㅆ으며 두 항성으 ㅣ중력 강섭이 커지게 되면서 행성 궤도가 비정상적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쌍성계에서 행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연구도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두 항성이 서로 가까이 있으면, 초기 성운에서 행성이 형성되는 과정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는 두 별 사이의 중력 섭동이 성운 내 물질의 밀집을 방해하여, 행성 형성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