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왜소행성, 소행성, 행성은 크기만이 기준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국제천문연맹에서는 행성을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충분한 중력을 가지고 있어 구체의 모양을 유지하며 자신의 공전 궤도에서 주변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특징을 가진다고 정의하였으며 왜소행성은 행성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지만 주변 궤도를 완전히 청소하지 못하여 중력이 완전히 지배적이지 않는 특징을 가지게 하는 것이지요~ 이를 가지고 구분한다고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행성 조사 시 물의 존재가 중요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물은 생명체의 생존과 직접적인 연관이 되어있는 물질이기에 물의 존재부터 확인하게 되는것이지요 물은 생명체가 필요한 화학반응의 촉매로서 영양분의 운반이나 세포 내환경조절, 노폐물의 배출 등의 다양한 생명 유지 활동에 필요합니다. 특히 탄소 기반 생명체가 물 속에서 다양한 생 화학적 과정으로 진화하게 되는것처럼 물이 유기 분자를 형성하고 복합적인 생명체로 진화하게끔 도와주는것이지요~만약 물이 존재한다면 ㄱ해당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하거나 과거에 존재했었을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인류가 이곳에 거주할수 있느 ㄴ가능성을 남겨주기에 가장 먼저 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지용!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오로라는 어떤 원리로 생기고 왜 추운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의 대기와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빛 현상인데 이는 태양에서 나오는 플라즈마가 태양풍 형태로 우주로 방출되고 지구가 가지고 있는 자기장이 이들을 차단하여 보호막 역할을 하면서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 자기장의 영향으로 극지방으로 끌려들어가게 되면서 지구 대기권의 질소와 산소와 충돌하게 되어 나타나게 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추운지역인 극지역에서만 보일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별은 대기의 불안정성이 줄어들고 공기가 더 맑아지게 되면서 추운날 별이 더 잘보이게 되는데 이는 대기의 습도가 줄어들면서 공기가 맑고 깨끗해지면서 수분이 적고 별빛이 지표에 도달하면서 산란이나 왜곡이 적어지면서 별을 더 선명하게 보이게 하는 것ㅇ지ㅣ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오래 전에 지구에 살았던 공룡이 멸종을 하게 된 이유가 혜성 충돌때문이라고 하는데 맞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공룡의 멸종과 관련된 설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 중 하나가 소행성 충돌입니다~! 6600만년 전 멕시코의 유칸반도에 떨어진 치크슬루브 소행성이 촉발했다고 보고 있으며 지구 생명체의 75%를 멸종시킨것으로 보고 있지요. 이 소행성은 직경 10~15km의 거대한 소행성이였으며 충돌로 거대한 먼지 구름을 형성하였고 대기권을 덮은 이후 태양광을 차단하며 핵겨울을 만들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생명체가 멸종의 길을 거덱 되었따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코안다 효과라고 불리는 것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코안다 효과는 유체가 물체의 곡면을 따라 흐르는 현상을 의미하며 공기역학에서 이야기하는 비행기 날개와 같은 곡선 표면 주변에서 유체가 어떻게 흐르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코안다 효과는 유체가 평평한 표면에 닿으면 그 표면을 따라 흘러가겠지만 곡면에 부딪히면 표면을 따름녀서 구부러져 흐르게 되는것인데 베르누이 원리와 함꼐 작용하며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거치게 합니다. 유체가 표면을 따라 흐르게된다면 그 표면과 가까운 족에선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반대쪾에선 압력을 높이게 되어 양력으로 물체를 뜰어올리게 되는것이지요~
536
537
538
539
5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