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지하깊숙한곳 중심에는 핵이라는게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의 중심엔 핵이 있으며 지구 내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는데 핵은 2개로 나뉘어집니다. 외핵과 내핵인데 외핵은 맨틀 아래에 위치하여 액체 상태로 된 철과 니켈을 가지고 있으며 약 2,200km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ㅅ브니다. 내핵은 지구 중심에 위치하며 고체 상태이며 철과 니켈로 이루어져 있으며 1,220km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핵은 지구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철과 니켈로 구성되어 있ㅇ며 내핵은 고체 상태이지만 외핵은 액체상태인데 이는 압력으로 인하여 그렇습니다. 핵은 직접 마그마를 만들지는 않지만 핵에섭 ㅏㄹ생하는 열에 의해 지구 내부 전체에 영향을 주게 하는데 지구의 핵은매우 뜨거워서 맨틀을 가열하고 이 열에 의해맨틀 내 물질들이 천천히 움직이며 대류 현상을 일으키게 하는것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습구 온도는 건구 온도보다 높을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습구온도는 건구 온도보다 높을수 없는데 이는 습구 온도계가 물을 증발시키며 온도를 낮추기에 그렇습니다. 건구온도는 일반적인 기온을 측정하는것이며 습구온도는 온도계 센서 부분에 젖은 천을 ㄱ마싸 물이 증발하도록 만든 상태에서 측정한 온도입니다. 습구 온도계에서 젖은천에 물이 묻어 있다면 공기중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고 이 증발 과정에서 열이 빠져나가면서 습구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증발이 일어날때 습구 온도는 주변 공기보다 낮앚기ㅓ나 같은 값을 유지하게 하는것이지요~물이 즐발할대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추는 증발 냉각효과로 공기가 건조할수록 더 많은 증발을 야기하여 습구 온도는 더 낮아지게 되는것ㅇ비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구름의 색깔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맑은 날의 구름은 대부분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이는 구름속의 물방울들이 빛을 거의 균일하게 산란시키기 때문이며 태양빛이 여러가지 색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이 빛들이 물방울을 만나며 모든 파장이 거의 동일하게 산란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구름은 모든 색의 빛이 혼합된 흰색으로 보이게 되고 구름이 두꺼ㅃ지 않을때 빛이 통과하게 되면서 반사되어 하얗고 밝은 모습을 가지게 하는것입니다. 흐리거나 비가 올때 구름이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보이는것은 매우 구름이 두꺼워지고 빛이 많이 흡수되면서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구름은 태양빛을 완전히 통과시키지 못하고 대부분의 빛을 차단하게 되는데 구름의 아랫부분까지 빛이 도달하지 못해 상대적으로 더 우두운 색으로 보이게되어 구름이 두꺼울수록 빛이 덜 통과하고 그 결과 어둡고 짙은 색을 띄게 하는 것이지요. 또한 구름의 입자가 커지거나 밀도가 높아지면서 빛을 더 많이 흡수하거나 산란하는 방식이 달라지면서 더 어둡고 무거운 색깔을 만들게 하여 비가 내릴때 구름이 어두운 이유가 되는것입니다. 구름의 색깔은 구름의 두께, 밀도, 구성물질에 따라 달라지며 빛의 산란과 흡수 현상이 구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원인으로서 맑은날의 하얀 구름이 가벼운 빛산란으로 인해 밝게 보이는 반면에 비가 올때 구름이 빛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 어둡고 짙은 색으로 보이게 해주는것ㅇ비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타임머신개발에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타임머신은 모든사람들로 하여금 흥미를 주는 주제이지용! 과학자들은 이를 실제로 진행시키려고 노력하였으나 현실가능성은 없는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와 관련된 이론적으로는 가능해보였기에 실천했지만 현실적으로 힘들다고 느껴진것이죠. 이이론은 아이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기반하게 되는데 매우 빠르게 움직이면 시간지연이 생기고 이를 통해 시간 여행의 일종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지요~ 또한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해 웜홀이 생기게 되면서 한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시간이동이 가능하다고 본것이지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보고있ㅅ브니다. 이는 할아버지의 역설등의 여러가지 철학적인 문제도 가미되며 현실가능성 없다고 보고 있으며 여러 SF소설이나 영화 등에서만 존재하는 이야기로여겨지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의 크기는 얼마나 되는지 가늠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관측 가능한 우주는 지구에서 빛이 도달할 수 있는 한계를 기준으로 정의됩니다. 즉, 빛이 우주 공간을 여행해 우리에게 도달할 수 있는 거리만큼을 측정한 것이 관측 가능한 우주입니다. 이 거리를 측정할 때는 우주의 나이와 빛의 속도를 고려합니다. 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 년으로 추정되며, 이 시간 동안 빛이 이동한 거리를 기반으로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우주의 팽창을 고려해야 합니다. 우주는 빛이 이동하는 동안에도 계속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관측 가능한 우주의 실제 크기는 지름 약 930억 광년으로 추정됩니다. 우주는 빅뱅 이후로 계속해서 팽창하고 있습니다. 이 팽창은 우주 자체가 확장되면서 모든 은하들이 서로 멀어지는 현상으로, 그 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허블 상수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관측된 은하들이 지구로부터 멀어지는 속도를 기반으로 우주가 얼마나 팽창했는지를 계산하게 됩니다. 우주의 팽창 속도는 우리가 볼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부분에 대해서는 직접 관측할 수 없게 만듭니다. 따라서 우주의 실제 크기는 관측 가능한 영역보다 훨씬 더 클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우주가 무한하거나 매우 거대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러나 관측 가능한 우주 외부에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우리가 직접적으로 관측하거나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우주의 전체 크기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우주가 무한히 팽창하는지, 아니면 언젠가 멈추거나 축소될 가능성이 있는지는 여전히 과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중요한 질문입니다. 우주의 모양이나 공간의 기하학적 특성(평평함, 닫힌 구조, 열린 구조 등)에 따라 그 크기와 끝에 대한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관측 가능한 우주의 경계 바깥에는 아직 탐구되지 않은 미지의 공간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미지의 영역은 우리가 현재의 기술로는 관측할 수 없으며, 우주가 어떻게 팽창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우주 망원경과 우주 탐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는 점점 더 먼 곳을 관측할 수 있게 되었지만, 여전히 관측 기술의 한계가 존재합니다. 현재의 기술로는 우주가 어디까지 팽창하고 있는지, 그 끝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5415425435445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