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과 동쪽의 기후차이어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유라시아 대륙의 서쪽, 즉 이베리아반도는 대서양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대서양은 해양성 기후를 형성하며, 바다의 온도 변화가 육지보다 느리기 때문에 겨울에는 바다가 주변 지역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이베리아반도는 온난한 겨울을 경험합니다. 반면, 동아시아, 특히 한국과 같은 동쪽 지역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습니다. 동아시아는 태평양에 접해 있지만,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대륙에서 내려오는 차가운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혹한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바다의 영향이 대륙의 차가운 공기를 막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겨울철에 동아시아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으며, 이는 시베리아 대륙에서 형성된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남하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으로 몰려옵니다. 이러한 고기압은 한랭한 공기를 동아시아로 보내며, 그 결과 한국, 중국 북부, 일본 등지에서 추운 겨울이 발생합니다. 반면, 유라시아 대륙 서쪽의 이베리아반도는 북대서양 난류(대서양의 따뜻한 해류)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 해류는 서유럽 전체를 겨울에도 비교적 따뜻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특히 제트 기류는 따뜻한 공기를 대서양에서 서쪽으로 보내며, 이베리아반도의 겨울을 온화하게 만듭니다. 동아시아의 지형적 특성도 기후 차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동아시아는 거대한 시베리아 고원과 고비 사막으로부터 냉기가 내려오는 경로에 놓여 있어, 겨울철 한랭한 바람이 막힘없이 남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반도, 중국 북부 등 동아시아 지역은 차가운 겨울을 맞게 됩니다. 반면에, 이베리아반도는 대서양과의 근접성 덕분에 해양의 온난한 영향을 받으며, 또한 알프스 산맥과 같은 지형이 북쪽에서 내려오는 한랭한 공기를 막아줍니다. 이러한 지형적 차이는 두 지역 간의 기온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대서양은 겨울철에도 비교적 온도가 유지되며, 이 지역에 따뜻한 바람을 불어넣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의 서부 지역은 대서양의 완충 효과로 겨울 기온이 온화해집니다. 반면, 시베리아 대륙은 겨울철 급격하게 냉각되어, 그 영향이 동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됩니다. 대륙 내부에서의 열 흡수와 방출 과정이 빠르게 이루어져, 극심한 겨울 추위가 발생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낮에는 태양광이 흰색으로 보이는데, 왜 저녁에는 붉게 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양빛은 여러 파장의 가시광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빛이 모두 합쳐져 우리가 보기에 흰색으로 보입니다. 태양빛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등 다양한 색의 파장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대기 중의 입자에 의해 더 많이 산란됩니다. 낮에 태양이 하늘 높이 떠 있을 때, 태양빛은 대기를 짧은 경로로 통과합니다. 이때, 파란색 빛이 산란되며 하늘이 파랗게 보이지만, 나머지 색들은 큰 변화 없이 눈에 도달하므로 태양은 흰색에 가깝게 보입니다. 이는 여러 파장의 빛이 섞여 우리의 눈에 흰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저녁이 되면 태양이 지평선 근처에 위치하게 되면서, 태양빛이 지구 대기를 더 긴 경로를 통과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짧은 파장의 빛인 파란색과 초록색 빛은 더 많이 산란되어 사라지고, 파장이 긴 빨강, 주황빛만이 상대적으로 덜 산란되어 우리의 눈에 도달합니다. 이 때문에 저녁에는 태양이 붉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저녁 시간에는 대기 중에 더 많은 먼지, 수증기, 연기 등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입자들은 빛의 산란을 더욱 강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저녁에는 붉은색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올해 여름이 많이 더웠는웠는데요. 2024년 겨울날씨는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2024년 겨울 날씨는 라니냐 현상의 영향으로 추운 겨울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라니냐는 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한반도와 같은 지역에서는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어 추운 겨울이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이번 겨울은 평년보다 추운 날씨가 예상되며, 특히 2월부터 4월까지 기온이 더 낮을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중력이 완전히 사라지는 고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의 중력은 이론적으로 완전히 사라지지 않으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강도가 점점 약해지지만, 어느 고도에서도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즉,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우주 깊숙이 가더라도 중력의 영향은 계속 남아 있게 됩니다. 그러나 흔히 말하는 무중력 상태는 중력이 아예 없다는 뜻이 아니라, 중력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상태 또는 미세중력 상태를 말합니다. 이를 더 정확히 이해하려면 지구 중력의 작용과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는 상황을 구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