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에는 태양광이 흰색으로 보이는데, 왜 저녁에는 붉게 보이는 건가요?
저녁 노을이 아주 아름답게 붉은 노을로 보이잖아요?
낮에는 태양광이 흰색으로 보이는데, 왜 저녁에는 붉게 보이는 건가요?
궁금해서 올려보아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태양빛 중에서 파란색이 산란을 많이 하기 때문에 낮에는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저녁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서 태양빛이 통과해야되는 대기의 두께가 더 길어지게 됩니다. 파란색이 초반에 많이 산란되게 되고, 지표면 근처에서는 붉은색이 잘 산란되기 때문에 노을이 붉게 보인다고 하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파장의 가시광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빛이 모두 합쳐져 우리가 보기에 흰색으로 보입니다. 태양빛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등 다양한 색의 파장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대기 중의 입자에 의해 더 많이 산란됩니다. 낮에 태양이 하늘 높이 떠 있을 때, 태양빛은 대기를 짧은 경로로 통과합니다. 이때, 파란색 빛이 산란되며 하늘이 파랗게 보이지만, 나머지 색들은 큰 변화 없이 눈에 도달하므로 태양은 흰색에 가깝게 보입니다. 이는 여러 파장의 빛이 섞여 우리의 눈에 흰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저녁이 되면 태양이 지평선 근처에 위치하게 되면서, 태양빛이 지구 대기를 더 긴 경로를 통과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짧은 파장의 빛인 파란색과 초록색 빛은 더 많이 산란되어 사라지고, 파장이 긴 빨강, 주황빛만이 상대적으로 덜 산란되어 우리의 눈에 도달합니다. 이 때문에 저녁에는 태양이 붉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저녁 시간에는 대기 중에 더 많은 먼지, 수증기, 연기 등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입자들은 빛의 산란을 더욱 강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저녁에는 붉은색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