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낮에는 태양광이 흰색으로 보이는데, 왜 저녁에는 붉게 보이는 건가요?

저녁 노을이 아주 아름답게 붉은 노을로 보이잖아요?

낮에는 태양광이 흰색으로 보이는데, 왜 저녁에는 붉게 보이는 건가요?

궁금해서 올려보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칠영 박사
    김칠영 박사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태양빛 중에서 파란색이 산란을 많이 하기 때문에 낮에는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저녁에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서 태양빛이 통과해야되는 대기의 두께가 더 길어지게 됩니다. 파란색이 초반에 많이 산란되게 되고, 지표면 근처에서는 붉은색이 잘 산란되기 때문에 노을이 붉게 보인다고 하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파장의 가시광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빛이 모두 합쳐져 우리가 보기에 흰색으로 보입니다. 태양빛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등 다양한 색의 파장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대기 중의 입자에 의해 더 많이 산란됩니다. 낮에 태양이 하늘 높이 떠 있을 때, 태양빛은 대기를 짧은 경로로 통과합니다. 이때, 파란색 빛이 산란되며 하늘이 파랗게 보이지만, 나머지 색들은 큰 변화 없이 눈에 도달하므로 태양은 흰색에 가깝게 보입니다. 이는 여러 파장의 빛이 섞여 우리의 눈에 흰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저녁이 되면 태양이 지평선 근처에 위치하게 되면서, 태양빛이 지구 대기를 더 긴 경로를 통과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짧은 파장의 빛인 파란색과 초록색 빛은 더 많이 산란되어 사라지고, 파장이 긴 빨강, 주황빛만이 상대적으로 덜 산란되어 우리의 눈에 도달합니다. 이 때문에 저녁에는 태양이 붉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저녁 시간에는 대기 중에 더 많은 먼지, 수증기, 연기 등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입자들은 빛의 산란을 더욱 강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저녁에는 붉은색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