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의 색깔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을 보면 동심으로 돌아간듯한 마음도 들고 요즘 가을하늘 구름은 너무 예쁘고 아름다운데 맑을때 구름이랑 흐리고 비올때 구름의 색깔이 다른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맑은 날의 구름은 대부분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이는 구름속의 물방울들이 빛을 거의 균일하게 산란시키기 때문이며 태양빛이 여러가지 색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이 빛들이 물방울을 만나며 모든 파장이 거의 동일하게 산란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구름은 모든 색의 빛이 혼합된 흰색으로 보이게 되고 구름이 두꺼ㅃ지 않을때 빛이 통과하게 되면서 반사되어 하얗고 밝은 모습을 가지게 하는것입니다. 흐리거나 비가 올때 구름이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보이는것은 매우 구름이 두꺼워지고 빛이 많이 흡수되면서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구름은 태양빛을 완전히 통과시키지 못하고 대부분의 빛을 차단하게 되는데 구름의 아랫부분까지 빛이 도달하지 못해 상대적으로 더 우두운 색으로 보이게되어 구름이 두꺼울수록 빛이 덜 통과하고 그 결과 어둡고 짙은 색을 띄게 하는 것이지요. 또한 구름의 입자가 커지거나 밀도가 높아지면서 빛을 더 많이 흡수하거나 산란하는 방식이 달라지면서 더 어둡고 무거운 색깔을 만들게 하여 비가 내릴때 구름이 어두운 이유가 되는것입니다. 구름의 색깔은 구름의 두께, 밀도, 구성물질에 따라 달라지며 빛의 산란과 흡수 현상이 구름의 색상을 결정하는 원인으로서 맑은날의 하얀 구름이 가벼운 빛산란으로 인해 밝게 보이는 반면에 비가 올때 구름이 빛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 어둡고 짙은 색으로 보이게 해주는것ㅇ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