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위도에 따라서 자전속도가 왜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는 완전한 구가 아니라 약간 편평한 타원체입니다. 이로 인해 적도에서의 지름이 극에서의 지름보다 큽니다. 따라서 적도에서의 회전 반경이 더 크기 때문에, 같은 시간 동안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게 됩니다. 적도에서는 지구의 자전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적도에서의 자전 속도는 약 1670킬로미터/시간(약 465미터/초)입니다. 이는 적도에서의 회전 반경이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반면, 극에서는 자전 속도가 거의 0에 가깝습니다. 극에서는 지구가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동하는 거리가 매우 짧습니다. 위도가 증가할수록 지구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기 때문에 자전 속도가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위도가 45도인 지역에서는 자전 속도가 적도보다 약 70% 정도 느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홍콩에서 용오름이 발생 했다고 하는데요 발생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용오름은 상층 대기와 하층 대기 간의 온도 및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홍콩에서는 상층 대기와 하층 대기 간의 충돌이 일어나면서 불안정한 기상 조건이 형성되었습니다. 홍콩에서 갑작스러운 소나기와 천둥번개가 발생하면서 대기 중의 불안정성이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용오름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용오름은 대기 중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용오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특히,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 위로 상승할 때 용오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높은 습도는 대기 중의 수분을 증가시켜 구름과 비를 형성하게 하고, 이는 다시 대기 불안정을 초래하여 용오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기 중의 바람이 강하게 불면, 공기의 흐름이 더욱 복잡해져 용오름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고기압과 저기압의 기류 형성 관련 질문 3가지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고기압 지역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고기압 지역의 공기가 줄어드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고기압 지역이 저기압으로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고기압은 대기 중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의미하며, 공기가 하강하면서 압력이 높아지는 현상입니다. 공기가 이동하면서 고기압 지역의 압력이 약간 감소할 수 있지만, 고기압 지역의 특성은 여전히 유지됩니다. 저기압 지역은 공기가 상승하면서 압력이 낮아지는 지역으로, 이 두 지역은 서로 다른 기상 현상을 나타냅니다. 고기압 지역에서 하강기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된 원인은 고기압 지역에서는 공기가 하강하면서 압축되고, 이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합니다. 이로 인해 공기가 더 많은 수분을 포함할 수 있게 되어 구름이 형성되지 않고 맑은 날씨가 나타납니다. 고기압 지역의 공기가 저기압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고기압 지역의 상층부에서 공기가 내려오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대기 중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흐름입니다. 저기압 지역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하면, 그 지역의 상층부에서 공기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저기압 지역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주변의 공기가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들어오게 됩니다. 그러나 저기압 지역의 상층부에서 상승한 공기가 다시 하강하면서 고기압이 형성되는 것은 아닙니다. 저기압 지역의 상승기류는 대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어 구름과 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저기압 지역은 지속적으로 저압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결국, 저기압 지역은 상승기류로 인해 지속적으로 공기가 빠져나가고, 이는 다시 고기압 지역으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밤 하늘에 별이 유난히 빤짝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별빛은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여러 층의 공기를 지나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대기의 불규칙한 움직임과 온도 변화로 인해 빛이 굴절되고, 이로 인해 별이 깜빡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지평선에 가까운 별일수록 대기를 더 많이 통과하게 되어 더 많이 반짝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높은 곳에 있는 별은 상대적으로 덜 반짝입니다. 밤하늘에서 유난히 빤짝이는 별은 주로 지구 대기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대기의 불규칙한 움직임과 별의 위치, 그리고 거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별이 깜빡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만약 우주에서 별을 관찰한다면, 별은 고정된 빛점으로 보일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미세플라스틱이 몸에 쌓이지 않으려면 유리병을 사용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미세플라스틱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우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유리병을 사용하면 미세플라스틱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미세플라스틱의 건강 영향, 유리병 사용의 장점, 그리고 1년 동안 섭취한 미세플라스틱 양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은 직경이 5mm 이하인 플라스틱 조각으로, 환경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습니다. 이들은 음료수, 음식, 공기 등을 통해 인체에 유입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은 호흡기 및 소화기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면역 체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유리병은 플라스틱보다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페트병에서 물을 마실 때 뚜껑을 열거나 음료를 따를 때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한 사람이 1년 동안 섭취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약 12숟가락에 해당하는 39,000개에서 52,000개 정도로 추정되 이는 주로 음료수, 음식, 공기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플라스틱 포장재, 섬유, 화장품 등에서 발생하며, 이를 통해 인체에 유입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