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많이끼가넘치는찜닭
많이끼가넘치는찜닭

고기압과 저기압의 기류 형성 관련 질문 3가지

공기의 흐름이 고기압 → 저기압으로 부는 것은 알겠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첫번째) 지표면상에서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기존의 고기압이었던 지역의 공기가 적어져서 저기압으로 바뀌지 않나요?

두 번째) 고기압 지역에서는 하강기류가 일어난다고 하는데 설명상으로는 고기압 지역에서 저기압으로 공기의 흐름이 일어나 비워진 공간을 상층부의 공기가 내려와서 자리를 채운다고 되어있는데(하강기류) 상층부의 공기가 아래로 내려오는 까닭은 무엇인가요? 온도 때문인가요?

세 번째) 지표면의 고기압->저기압으로 공기의 흐름이 일어났을 때 저기압 지역에서는 상승기류가 일어난다고 하는데 저기압 지역에서 상승기류가 일어나면 저기압 지역의 상층부는 다시 고기압이 형성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고기압 지역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공기가 이동하면, 고기압 지역의 공기가 줄어드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고기압 지역이 저기압으로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고기압은 대기 중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의미하며, 공기가 하강하면서 압력이 높아지는 현상입니다. 공기가 이동하면서 고기압 지역의 압력이 약간 감소할 수 있지만, 고기압 지역의 특성은 여전히 유지됩니다. 저기압 지역은 공기가 상승하면서 압력이 낮아지는 지역으로, 이 두 지역은 서로 다른 기상 현상을 나타냅니다. 고기압 지역에서 하강기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된 원인은 고기압 지역에서는 공기가 하강하면서 압축되고, 이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합니다. 이로 인해 공기가 더 많은 수분을 포함할 수 있게 되어 구름이 형성되지 않고 맑은 날씨가 나타납니다. 고기압 지역의 공기가 저기압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고기압 지역의 상층부에서 공기가 내려오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대기 중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흐름입니다. 저기압 지역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하면, 그 지역의 상층부에서 공기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저기압 지역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주변의 공기가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들어오게 됩니다. 그러나 저기압 지역의 상층부에서 상승한 공기가 다시 하강하면서 고기압이 형성되는 것은 아닙니다. 저기압 지역의 상승기류는 대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어 구름과 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저기압 지역은 지속적으로 저압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결국, 저기압 지역은 상승기류로 인해 지속적으로 공기가 빠져나가고, 이는 다시 고기압 지역으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게 됩니다.

    1명 평가